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장군

게시글 정보

조회 99 2024/04/02 15:42

게시글 내용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국내 최초로 출시해 초과 성과를 달성한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이 올해 출시하는 첫 ETF 테마로 글로벌 우주테크·방산을 꼽았다. 각국이 국방예산을 늘리는 가운데 우주 산업이 국가 산업에서 민간 주도로 이동하며 확장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4월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이달 상장을 목표로 ‘타임폴리오 TIMEFOLIO 글로벌우주테크&방산액티브’ ETF 출시를 준비 중이다. 기초지수는 ‘솔랙티브 에어로스페이스&방산지수PR’로 국내외 우주·방산 기업 25~30개 가량 편입할 계획이다.

대표 기업으로는 미국 항공사 보잉과 에어버스, 대표 방산기업인 록히드마틴, RTX부터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MS) 등 AI 관련주, 국내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LIG넥스원(079550)까지 다양하다. 글로벌 우주·방산 기업에 두루 투자하는 ETF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금까지는 한화자산운용의 ‘ARIRANG K방산Fn’ ETF가 국내에 상장된 유일한 방산 관련 상품이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가 스타링크의 도움을 받아 통신망을 회복한 사례가 주목을 받는 등 주요국들 사이 우주력(Space Power) 확보는 점점 더 중요해지는 추세다. 전 세계 정부들의 우주에 대한 관심 증가는 상업우주를 발전시키는 동력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스페이스X의 발사체 재사용과 버진 갤럭틱의 민간인 우주 여행이 상업우주 1.0 시대를 열었다면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 재사용 발사체(로켓)와 지구 곳곳에 인터넷을 보급할 수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 등은 우주 경쟁 2막을 열었다고 분석한다. 소진웅·임은혜 삼성증권 연구원은 “각국의 우주 관련 예산이 증가하고 있다”며 “상업우주 1.0 시대에서는 막대한 유동성과 인류가 우주로 갈 수 있다는 희망이 관련 기업들의 주가를 끌어 올렸다면 이제는검증된 기술력과 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한 수익성을 보이는 업체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맥시마이즈마켓리서치(MMR)에 따르면, 우주산업 시장 규모는 지난해 4332억 5000만 달러(약 585조 원)에서 오는 2030년 7002억 8000만 달러(약 945조 원)으로 연평균 7.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AI는 스페이스테크 발전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 고사양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기술이 결합된 각종 하드웨어·소프웨어는 우주산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우주테크·방산 ETF에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포함된 이유다.

올들어 국내 방산 관련주는 급등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 들어 3월 말까지 64.2% 올랐고, LIG넥스원(36.7%), 현대로템(064350)(38.3%) 등도 일제히 급등했다. 국내 유일 방산 ETF인 ARIRANG K방산Fn도 같은 기간 25% 이상 상승했다. 자산운용사 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주는 더이상 미지의 대상이 아닌 경쟁의 영역으로 진입했다”며 “민간 주도 사업으로 전환 중인 지금이 투자하기 좋은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인이 접근이 어려운 글로벌 우주·방산 기업들을 전문 운용력들의 리서치를 통해 손쉽게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 3월 29일(금),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를 전격 방문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차세대 발사체 사업 단독협상자 선정을 축하하고 연구원들을 격려하기 위해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는 발사체 전 분야의 개발 수행이 가능한 국내 유일의 발사체 개발센터다. 이날 자리에는 한화그룹의 우주 사업 통합 브랜드스페이스 허브를 총괄하는 김동관 부회장도 함께했다.김승연 회장은 이날 누리호 고도화 및 차세대 발사체 사업의 주역인 연구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김 회장은 "누리호 3차 발사의 성공으로 대한민국은 자력으로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고 보유한 7번째 국가가 됐다"며 사업에 참여한 연구원들을 격려했다. 또한, 차세대 발사체 사업 단독협상자 선정을 축하하면서 이를 끝이 아닌 시작으로 삼아 우주 시대를 앞당겨 미래세대의 희망이 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엄새빈 선임연구원은 "누리호 발사마다 회장님께서 주신 격려 편지를 간직하고 있다. 한화인으로서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1차 발사 당시 격려 편지를 가져와 김승연 회장의 친필 서명을 받기도 했다. 김승연 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관하게 될 누리호 4차 발사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2025년으로 예정된 4차 발사의 완벽한 성공으로 우주 전문기업으로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자는 것이다.한화그룹은 우주 사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로 누적 약 9000억원에 이르는 투자를 집행해왔다. 그 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를 통한 우주 수송을, 쎄트렉아이와 한화시스템은 인공위성 제작 및 위성 서비스를 담당하는 등 우주 사업 밸류체인을 확보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월 순천 율촌 산단 내에 스페이스 허브 발사체 제작센터 착공식을 갖고 현재 건설이 진행 중이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대규모 미사일 공격을 감행한 소식에 국내 방산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3월2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 16분 현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전 거래일 대비 6.09% 오른 20만5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밖에 현대로템(064350)은 3.04% 상승하고 있고, LIG넥스원(079550)은 4.37% 오른 17만1900원에 거래 중이다. 한국항공우주(047810)도 1.50% 오름세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심화하면서 유럽 국가 등 전 세계 안보 문제가 부각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방산주는 유럽 등에 수주 규모가 많아 유럽을 중심으로 안보 문제가 두드러지면 주가가 튀어 오르곤 했다.  

앞서 CNN은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인용해 러시아군이 이날 키이우를 향해 탄도미사일 2발과 순항미사일 29발을 발사해 현지 주민 수천명이 지하철역 등으로 대피했다고 보도했다. CNN은 이를 전쟁 초기를 연상케 한다고 덧붙였다. 



'방위산업 대장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가가 무섭게 치솟고 있다. 이달 들어 20만원대를 처음 돌파한 뒤 3월22일에는 역대 최고가를 또 다시 썼다. 지난 20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함께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뒤를 잇는 차세대 발사체(KSLV-Ⅲ) 개발에 나선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이날 코스피 시장에 따르면 오전 10시 현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일 대비 2만800원(+10.74%) 오른 21만4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5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15일 종가 18만100원과 비교하면 19.10%나 올랐다.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 김동관 부회장이 이끌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12월 조달청이 공고한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발사체 총괄 주관 제작' 사업에 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향후 항우연과 최종 협상을 거쳐 사업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이번 사업은 달 착륙선 등 국가 우주개발 로드맵의 주요 탑재체를 우주로 보낼 새로운 발사체를 개발하는 국가 우주계획의 핵심 사업이다. 민간기업이 항우연과 함께 설계부터 발사운용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해 민간 주도 우주경제 시대를 여는 사업으로 평가받는다. 차세대 발사체는 대형위성 발사와 우주탐사 등을 위해 누리호보다 향상된 성능으로 개발한다. 총 세 차례 발사를 통해 2032년 달 착륙선을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99년 과학관측로켓(KSR-Ⅲ) 개발을 시작으로 26년간 축적한 엔진 기술력과 누리호 고도화사업을 통해 획득한 중대형 발사체 제작 역량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이번 차세대발사체 사업으로 확보한 기술과 경험을 앞세워 글로벌 발사 서비스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목표다.증권가에서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 추가 상승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폴란드 K2 전차 출고가 올해 60대 이상, 천무 MLRS 30대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수익성 높은 수출 증가에 영업이익률도 7.5%에서 9%로 상승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목표 주가도 22만원으로 제시했다.



국내 우주 밸류체인을 완성한 유일한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민간 우주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를 장기간에 걸쳐 받을 것으로 전망하는 보고서가 나왔다.

3월6일 이승웅 유안타 연구원은 “누리호의 체계종합 기업으로 3월 중 차세대발사체(KSLV-III) 개발사업 주관기업으로 선정될 것"이라면서 “국내 민간 발사 서비스 시장을주도할 뿐만 아니라 자회사를 통해 위성 및 지상체 제조, 우주서비스까지 우주산업 전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한다고 말하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목표주가를 지금보다 27%오른 23만5000원으로 제시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다.

이와 함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2.9%와 24.4%  오른 10.6조원, 8765억원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27년까지 지상방산에서의 대규모 수주 바탕으로 이익 증가세는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지상방산에서의 추가적인 해외수주 기대감은 24년에도 유효하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LIG넥스원과 '철매-Ⅱ 성능개량(천궁-Ⅱ) 2차양산 장입유도탄 주요 구성품 및 발사관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월20일 공시했다.계약금액은 1663억원으로 2022년 매출액의 2.5%에 해당하는 규모다. 계약기간은 2027년 5월 10일까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은 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사우디 국가방위부와 방산 협력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월13일 밝혔다.이번 체결식은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린 방산 전시회 ‘월드 디펜스 쇼(WDS) 2024’ 기간 중에 진행됐다. 사우디 국가방위부는 영토와 국경 보호, 치안 관리, 왕실, 이슬람 성지 보호를 위해 설립된 조직으로 국방부와 다른 별개 정부 부처다.한화는 이번 MOU 체결에 따라 장갑차 등 지상무기체계부터 로봇 및 위성을 활용한 감시정찰체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방위부의 중장기 획득 계획에 참여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군수품의 50%를 현지 생산하겠다는 목표로 방위 산업을 육성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협력도 확대한다.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사우디는 2022년 군사비로 750억달러(약 100조원)를 지출해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7.4%로 우크라이나에 이어 세계 2번째 규모다. 한화 측은 “이번 MOU를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 안보는 물론 방위 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화에도 이바지해 중장기적으로 전략적인 협력 관계를 굳건하게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자체 개발한 다목적 무인차량 '아리온스멧 (Arion-SMET)'이 미국 해병대 훈련장에서 성공적으로 성능 시험을 진행했다. 국내 방산 기업의 무인 차량이 세계 최고 성능을 요구하는 미군의 해외비교성능시험 (Foreign Comparative Testing, FCT)을 치룬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달 14일부터 22일까지 7일 간 미국 하와이 오아후 (Oahu)에 있는 미 해병대 훈련장에서 아리온스멧의 해외비교성능시험을 진행했다고 올 1월5일 밝혔다. 이번 성능 시험은 미 해병대와 더불어 미 육군 전투능력개발사령부 (DEVCOM) 예하 미 육군 지상차량체계연구소(GVSC) 등이 함께 참여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성능 시험에 앞서 미 해병대원들이 아리온스멧을 FCT기간동안 직접 운용할 수 있도록 3일 간의 교육 세션을 진행했다. 미 해병대는 하와이 내 해안가, 모래사장, 진흙길, 비포장도로 등 다양한 야지 환경에서 아리온스멧을 직접 운용하며 작전 운용 능력을 종합 평가했다. 다양한 적재물에 대한 운송 능력, 탐색 자율주행 능력, 경로점 자율주행 능력, 주행성능 등이 주요 성능 평가 대상이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미국 법인은 이번 FCT를 계기로 미 육군의 무인차량 (S-MET) 사업에 도전하는 등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무인 체계 기술 경쟁에 뛰어든다.아리온스멧은 원격 조종, 병력과 연결된 선을 따라 가는 유선 추종, 주어진 경로점을 따라 가는 자율주행, 가보지 않은 길도 스스로지형을 탐색하며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탐색자율주행, 선행 병사 및 차량을 추종하며 자율로 주행하는 선행추종자율주행 등 5가지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원격통제사격체계로 목표물을 자동으로 추적·조준하고, 기동간 사격을 하는 등 근접전투를 지원할 수 있다. 최고속도(43km/h)와 전기충전 후 항속거리(100km), 적재중량(550kg) 등은 글로벌 톱티어 장비와 동급이거나 그 이상이다.서영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임원은 "미국 FCT의 성공적인 수행으로 아리온스멧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며 "미국뿐 아니라 세계 무인차량 시장에서 추후 지속적으로 아리온스멧 및 당사의 무인체계기술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조4424억으로 전년ㄷ동기대비 32.6% 증가. 영업이익은 2895억으로 79.6% 증가. 당기순이익은 2132억으로 2350.6% 증가. 

작년 전체   매출액은 9조3697억으로 32.7% 증가. 영업이익은 7049억으로 76.1% 증가. 당기순이익은 9923억으로   576.9% 증가.



한화그룹 계열의 항공엔진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국내 군수 엔진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P&W사와 GTF(Geared Turbo Fan) 엔진의 RSP(Risk and Revenue Sharing Program) 계약을 체결. 주요 품목은 가스터빈엔진 및 엔진부품, 엔진정비 등으로, 상표는 T50/FA50, F100, LM2500, KUH, LPT모듈, Blade, Case 등임. 22년11월 한화디펜스를 흡수합병. 주요 종속회사로 한화시스템 등을 보유. 최대주주는 한화 외(33.98%),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9.12%).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조5396.06억으로 전년대비 183.01% 증가. 영업이익은 3772.15억으로 36.13% 증가. 당기순이익은 1520.28억으로 49.62% 감소. 


1998년 6월27일 2336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작년 7월27일 1510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0월23일 902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2225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318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255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805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