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장군

게시글 정보

조회 50 2024/02/22 11:55

게시글 내용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액체로 된 2차전지다. 이와 달리 전해질이 고체로 된 2차전지가 ‘전고체 배터리’다. 충전 시간이 짧고 화재 위험성이 낮아 차세대 주자로 꼽힌다. 고체전해질을 구성하는 핵심 소재는 ‘황화 리튬(Li2S)’. 황화 리튬은 제조 공법이 까다로워 양산 능력을 갖춘 기업은 손을 꼽을 정도다.
코스닥 상장사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연간 120t의 황화 리튬 생산 능력을 갖춘 유기금속화합물 전문 제조기업이다. 2022년 말 기술 개발에 성공한 이후 세종시 미래산업단지에 생산설비를 구축했다. 인허가를 받고 이달 초 가동을 시작했다. 국내외를 통틀어 100t 이상의 황화 리튬 생산에 나서는 건 레이크머티리얼즈가 처음이다. 지난 2월8일 충남 천안5산업단지 공장에서 만난 김진동 레이크머티리얼즈 대표는 “전 세계 5~6개 업체가 황화 리튬을 생산 중이지만 제조 공법의 효율성과 생산 규모 면에서 우리가 가장 앞서 있다”고 강조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불연성 고체여서 충격 등에 따른 누액 위험이 없어 발화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고속 충전 및 대용량 구현이 가능해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800㎞까지 늘릴 수 있다. 글로벌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사들이 앞다퉈 제품 개발에 뛰어드는 이유다. 관련 업계는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 시점을 2027년께로 예상한다. 김 대표는 “국내외 기업과 속속 황화 리튬 공급 계약을 추진 중이어서 올해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주력 제품은 반도체, 태양광, 석유화학 촉매, 발광다이오드(LED) 산업 분야에 쓰이는 유기금속화합물이다. 알루미늄 계열의 유기금속 소재 ‘트리메틸알루미늄(TMA)’이 대표적이다. 2011년 국산화에 성공했다. TMA는 산업적 응용도가 높은 소재다. 반도체와 LED, 폴리프로필렌(PP)·폴리에틸렌(PE) 제조에 필요한 메틸로센 촉매 등에 두루 쓰인다. 원천 기술을 보유한 곳은 미국, 독일 기업을 포함해 네 곳에 불과하다.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지난해 450t을 생산한 데 이어 오는 9월까지 설비 증설을 통해 750t으로 늘릴 계획이다. 압도적인 글로벌 시장점유율(50%)이 목표다.
레이크머티리얼즈는 TMA 외에 다양한 유기금속화합물을 활용한 반도체, LED, 고효율 태양광 전지용 ‘전구체’(산화·질화금속 및 금속 전 단계의 물질) 생산에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반도체 전구체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대만 TSMC 등이다. LED와 태양광 부문 생산량은 글로벌 1위다.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지난해 매출은 1200억원, 영업이익은 약 270억원으로 추정된다. 올해와 내년 매출 목표는 각각 1600억원, 2000억원이다. 김 대표는 “부가가치가 높은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매년 2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KAIST에서 유기금속화학을 전공했다. DL케미칼(옛 대림산업)에서 10년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10년 레이크머티리얼즈를 창업했다. 미국 듀폰과 다우, 독일 바스프처럼 100년 이상 지속하는 소재산업의 명문 기업으로 일구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작년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16.1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5.59% 감소. 영업이익은 91.92억으로 9.22% 감소. 당기순이익은 64.40억으로 25.38% 감소. 
작년 전체 매출액은 1177.90억으로 전년대비 10.4% 감소. 영업이익은 295.26억으로 16.6% 감소. 당기순이익은  242.52억으로 10.7% 감소. 


한화투자증권은 올 1월2일 레이크머티리얼즈에 대해 ‘본업과 신사업의 동반 성장이 주목된다’며 ‘매수’를 추천했다. 목표주가는 2만4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김광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사업 본격화에 따라 목표주가 산정 방식을 기존 주가수익비율(P/E) 벨류에이션에서 SOTP(사업별 평가가치 합산) 방식으로 변경했다”며 “적정 기업 가치를 1조5600억 원으로 산정한다”고 전했다.
이어 “전방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고려할 때 매우 보수적인 가치 산정”이라며 “현 주가는 동사의 기존 사업가치만을 반영하고 있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한화투자증권은 올해 레이크머티리얼즈가 반도체를 필두로 전 부문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부문 실적은 매출액 89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가 예상된다”며 “이는 고객사 가동률 정상화, High-K 전구체 용량 증가에서 기인한다. 특히 High-K 전구체는 SK하이닉스의 1a, 1b 비중 확대에 따라 구조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태양광과 석유화학 부문도 고성장이 전망된다”며 “태양광은 중국 시장에서의 PERC셀 수요 성장에 따른 유기금속화합물(TMA) 공급 부족 지속 영향, 석유화학은 메탈로센 촉매군 본계약 체결에 따른 양산 물량 공급 증가에 기인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사업 가치를 반영할 시기”라며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사업을 준비 중이다.  황화리튬 사업에서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첫 해가 되면서 내년부터 가동률 상승에 따라 매출 성장 본격화가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레이크머티리얼즈가 2023년 태양광 사업 매출이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레이크머티리얼즈 관계자는 작년 9월27일 "태양광 시장이 커지면서 관련 사업을 하는 기업들이 많이 늘고 있다. 자연스레 수요가 증가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며 "지난 2021년 태양광 사업 매출액은 약 100억, 작년에는 약 280억 정도로 올해는 약 400억 정도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레이크머티리얼즈는 반도체 업황 악화로 관련 매출이 감소한 반면 상대적으로 마진이 높은 태양광과 석유화학촉매 매출은 증가하는 추세다.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올해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 전망치는 연결기준 매출액 1340억원, 영업이익 361억원이다. 전년대비 소폭 상승한 실적으로 전년과 비슷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레이크머티리얼즈는 태양광 TMA 소재를 국내외 태양전지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태양전지 업체는 PERC 셀 기술이 적용된 태양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PERC 태양광 모듈은 후면에 실리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유전막을 증착하는데, 그때 전구체로 TMA가 사용된다.태양광 소재 부문에서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시장점유율은 50% 후반으로 추정된다. 매해 증가하는 수요에 레이크머티리얼즈는 TMA와 석유화학 촉매 관련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신규 공장도 증설한다. 오는 11월 공사를 시작으로 내년 9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반도체 소재의 경우, 메모리 업체의 웨이퍼 투입 축소 영향이 1분기에 이어 2분기까지 이어졌다. 레이크머티리얼즈는 TiN 또는 Ti 용 전구체로 사용 중인 TiCl4를 삼성전자에 양산 납품 중 이다. 상반기 삼성전자가 감산 발표함에 따라 반도체 소재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레이크머티리얼즈는 반도체 시장 회복으로 매출 성장을 기대하며 설비 투자에도 집중하고 있다. 내달 완공 예정인 세종시에 위치한 연구소와 생산시설에 125억원을 투자해 구축하고 있다. 140억 원을 투자한 High-K 전구체 설비도 2024년 상반기 증설이 완공될 예정이다.레이크머티리얼즈 관계자는 "앞으로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기대하며 올해는 공장 증설 등 성장을 위해 도약하는 해로 보고 있다. 시장 변화로 자연스레태양광 사업이 호조를 이루면서 올 하반기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라, 회사 실적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유기금속 소재 업체 레이크머티리얼즈가 개발한 신소재 알루미늄 유기금속화합물(TMA)이 중국의 태양광 투자 증가로 반도체와 발광다이오드(LED) 관련 수요 감소를 만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양광 시설 투자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추가 시설 투자에도 착수했다.
작년 9월10일 업계 관계자에 의하면 레이크머티리얼즈는 2020년 개발한 소재 TMA 가동률이 사실상 풀캐파(생산 가능 최대치)에 도달했다.
레이크머티리얼즈 관계자는 “태양광 관련 공급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대부분 중국 쪽”이라며 “지금 중국에서 태양광 투자 얘기가 나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장 가동률이 80%에 도달해 신규 생산 시설 추가를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TMA는 LED와 반도체, 태양광 등 대부분의 전자재료 외에 석유화학 촉매나 정밀화학 시약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필수 소재로 꼽힌다.
초민감성 물질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기술자가 아니면 취급이 어려우며, 제조 또한 최상위 기술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전 세계 TMA 제조사는 레이크머티리얼즈, Grace(미국), Akzo Nobel(미국), Lanxess(독일) 등 4개사로 알려져 있다.
사실 고등급 TMA는 반도체와 LED 제조에 쓰이지만, 지난해부터 두 시장이 급격히 침체하면서 레이크머티리얼즈의 관련 매출이 감소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제품이 중국 태양광 장비 제조에 투입되면서 상반기 실적 만회를 이끌었다. 태양광 공급용 소재 매출 비중은 2021년 13.15%에서 2022년 21.32%, 2023년 상반기 기준 30.60%까지 늘었다.
최근 중국은 태양광 발전 투자가 많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드 매켄지에 따르면 미국 태양광 시장 규모는 향후 5년간 3배로 성장, 2033년에는 700G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2023년 태양광 발전 설치량이 4월 기준 48GW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간 대비 190% 증가했다.
회사 측은 앞으로도 TMA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고 2023년 11월부터 신규 공장 증설과 인프라 구축에 돌입한다. 투자금액은 315억 원으로 자기자본대비 36.38%의 대규모 투자다. 이 밖에도 반도체 소재(High-K 전구체) 설비 증설, 연구소와 기타 인프라 구축에도투자가 계속되고 있다.
레이크머티리얼즈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소재 생산 가동률은 92.50%까지 증가했다. 분류상 반도체 소재이지만, TMA 수출이 많이 늘어나서로 추정된다. 사실상 추가 생산 시설이 필요한 수준까지 오른 셈이다.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는 315억7000만원 규모 시설투자를 결정했다고 작년 9월6일 공시했다. 투자목적은 신규 공장 캐파 증설 및 인프라 구축이다. 투자기간은 11월20일부터 내년 9월30일까지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동부스팩5호가 유기금속 화합물 전문업체 레이크머티리얼즈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변경 상장. 유기금속화학물 설계 및 TMA(Trimethyl Aluminium)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LED, 메탈로센촉매(석유화학촉매), 디스플레이, Solar, 반도체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초고순도 유기금속 화합물을 개발 및 공급 중. 국내 최초로 TMA를 개발하여 국산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 소재 및 석유화학촉매를 자체 기술로 개발 소재 국산화를 주도. 최대주주는 김진동 외(43.84%).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15.06억으로 전년대비 50.66% 증가. 영업이익은 353.91억으로 71.07% 증가. 당기순이익은 271.59억으로 50.22% 증가.

2020년 3월19일 798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크고 작은 등락을 반복하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작년 6월19일 2605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120일선 아래로 밀리렸으나 11월13일 1070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볼 수 있겠습니다.

손절점은 198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06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227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5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