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주식종합토론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메가터치(44654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1,031 2025/03/19 07:49

게시글 내용



3월1일 메가터치 주가가 소폭 상승했다.

전날인 2월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메가터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0.43% 오른 4670원에 거래를 마무리했다.

이는 LG에너지솔루션이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인 4680 모델의 양산 준비를 마치고 테슬라에 납품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다음달 5일부터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 행사에서 4680 원통형 배터리를 공개할 예정이다. 4680 배터리는 기존 2170 모델 대비 에너지 용량이 5배, 출력이 6배 높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메가터치는 2차전지 및 반도체 테스트용 핀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모든 형태의 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테스트 핀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의 로보택시, 옵티머스, 사이버트럭 등에 4680 배터리를 공급하면서 메가터치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메가터치는 지난해 개별 기준 매출 530억 원, 영업이익 40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메가터치가 장 중 강세다.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는 4680 원통형 배터리 양산 준비를 끝마치고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보다 에너지 용량을 다섯 배 끌어 올린 제품을 테슬라에 납품할 계획이라는 소식에서다. 메가터치는 국내 배터리 3사가 생산하는 각형, 원형, 폴리머 배터리 등 모든 타입에 적용할 수 있는 테스트 핀 물량 100%를 독점 공급하고 있는 점이 주목받고 있는 모습이다.

2월24일 오전 10시36분 기준 메가터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05원(2.88%) 오른 3745원에 거래되고 있다.관련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다음달 5일부터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 행사에서 4680(지름 46㎜·높이 80㎜) 원통형 배터리를 선보인다. 기존 2170(지름 21㎜·높이 70㎜) 배터리와 비교해 에너지 용량은 5배, 출력은 6배 높은 제품으로 2170 원통형 배터리보다 안정성과 효율성이 대폭 개선돼 '차세대 배터리'로 통한다.LG에너지솔루션의 4680모델은 테슬라의 로보택시와 옵티머스에도 사용된다. 사이버트럭에도 이 배터리를 공급하면서 테슬라는 원가 절감과 공급망 단순화를 노리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 제품을 통해 휴머노이드 분야에도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다.메가터치는 현재 국내 배터리 제조 3사가 생산하는 각형, 원형, 폴리머 배터리 등 모든 타입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에 테스트 핀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메가터치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개사향 제조에 필요한 테스트 핀 물량의 100%를 납품하고 있으며, 신기술 프로젝트 개발에도 모두 참여하는 중이다. 이와 함께 테슬라 배터리 공급망인 일본 파나소닉과 4680 배터리 테스트용 핀 개발도 마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9.92억으로 전년대비 5.68% 증가. 영업이익은 39.96억으로 2.53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50.43억으로 0.88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메가터치가 상한가로 치솟았다. 작년 10월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메가터치(446540)는 오전 10시25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29.90%(1190원) 올라 51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삼성전기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성공 소식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기는 세계 최초로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 가능한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

메가터치는 배터리와 반도체 테스트 공정에 필수적인 핀을 개발, 제조하고 있다. 테스트 핀은 배터리 성능을 검증하는 데 필수적인 부품으로, 배터리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수요도 함께 늘어난다. 메가터치는 국내 배터리 3사에 테스트 핀을 독점 공급한다.



2차전지·반도체 공정용 장비 부품 생산업체 메가터치 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작년 8월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9분 현재 11.06% 올라 4620원에 거래되고 있다. 배터리 스펙 변화에 따른 배터리 핀 교체 수요 확대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배터리 용량이 증가하고,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가 개발되면서 배터리 핀의 스펙 또한 변화하고 있다.

전방업체들의 가동률 증가와 설비 투자 확대는 메가터치의 배터리 핀 매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배터리 생산이 확대되면서 배터리 핀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메가터치 주요사업으로 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 PIN 과 CLIP,  반도체 TEST용 PROBE PIN, ICT PIN 등을 개발, 제조, 판매 하고 있다.

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 PIN은 배터리의 성능을 평가하고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적 연결 부분이다. 

배터리의 충전 속도, 방전 용량, 내부 저항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필수적이다.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안전한 테스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테스트 PIN이 사용된다.

배터리 사업 부문은 배터리 제조공정인 전극 공정, 조립 공정, 활성화 공정 중에서 활성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핀을 제조하고 있다.

반도체 사업 부문은 비메모리반도체 벨류체인 상 후공정 프로세스 중에서 주로 Wafer Test와 Final Test등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핀을 제조하고 있다.



메가터치는 작년 7월3일 오전 9시 35분 현재 전거래일보다 4.17% 상승한 5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미국 테슬라가 2분기 차량 인도량이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미국 증시에서 10% 넘게 급등하면서 금일 국내 관련주들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에 4860 테스트핀을 공급하고 있는 메가터치에도 수혜 기대감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메가터치는 ▲2차전지 제조 공정 중 활성화 공정의 ‘충·방전 핀’ ▲반도체 테스트용 프로브 카드에 쓰이는 ‘인터포저’▲반도체 테스용 소켓에 쓰이는 ‘포고핀’ ▲MEMS(Micro Eldctro Mechanical System) 등을 제조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주요 배터리 3사 내 충·방전 테스트 핀 부분 메가터치 제품 점유율이 100%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최근 주목받고 있는 4680 원형 배터리 테스트용 핀도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주요 배터리 제조사에 공급 중이며 테슬라 배터리 공급망인 일본의 파나소닉과 4680 배터리 테스트용 핀 개발을 마쳤고 다음 달부터 공급할 예정이다.

보도에 따르면, 전일 미국 뉴욕증시에서 테슬라가 10% 이상 급등했다. 테슬라는 이날 올해 4~6월 41만831대를 생산하고 44만3956대를 인도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46만6140대)보단 4.8% 줄고, 1분기보단 14.8% 늘었다. 그러나 1분기 인도량(38만6810대)보다 늘었고, 월가 전문가 예상치(43만8019대)도 웃돌면서 매수세가 몰렸다.



반도체 제조업체는 더 작고 강력한 트랜지스터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미세화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있다. 

웨이퍼 및 기타 반도체 재료에 대한 수요 증가 전망에 반도체 재료 부품주인 덕산테코피아 메가터치 등에 매수세 몰리고 있다. 작년 6월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메가터치는 이날 오후 12시 57분 현재 6.25% 올라 5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웨이퍼는 반도체의 기본 기판이며 실리콘, 갈륨 아세나이드 또는 기타 반도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최근 반도체 시장의 호황으로 인해 반도체 재료 부품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강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버, 인공지능, 5G 등의 성장 시장에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메가터치 주요 사업으로 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 PIN 과 CLIP, 반도체 TEST용 PROBE PIN, ICT PIN 등을 개발, 제조, 판매 하고 있다. 

반도체 TEST용 PROBE PIN은 웨이퍼 테스터에서 웨이퍼 상태의 반도체 칩을 검사할 때 사용되는 접촉 부품이다.

PROBE PIN은 프로브 카드라는 판에 부착돼 있으며, 수백 ~ 수천 개의 PIN이 밀집되어 있다.

배터리 사업 부문은 배터리 제조공정인 전극 공정, 조립 공정, 활성화 공정 중에서 활성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핀을 제조하고 있다.



메가터치가 강세다. D램용 프로브카드 국산화 기대감이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메가터치는 작년 5월3일 오전 10시18분 기준 전거래일 대비 400원(7.41%) 오른 5800원에 거래됐다.

메가터치는 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핀(Test Pin)과 클립(Clip) 및 반도체용 테스트 프로브 핀(Test Probe Pin) 등을 개발, 제조, 판매하는 업체다. 배터리 사업 부문은 베터리 제조공정 중 활성화 공정에 사용하는 핀을 제조한다. 반도체 사업 부문은 비메모리 반도체 밸류체인 상 후공정 프로세서 중에서 주오 웨이퍼 테스트 및 파이날 테스트 등 테스트 공정에 사용하는 핀을 제조한다.

반도체 부품이 점차 미세화하는 가운데 메가터치는 소형화 기술을 확보했다. 제품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핵심 도금 기술과 외경 0.3㎜ 이하의 미세공정 제품 제조 시 요구되는 전주바디(Electroformed body) 기술이 대표적이다.

작년 미국 폼팩터의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이 밖에도 SK하이닉스, 삼성SDI 등을 주요 고객사로 삼고 있다.

폼팩터는 테스트 및 측정 기술 제공업체다. 프로브 카드, 분석 프로브, 프로브 스테이션, 계측 시스템, 열 시스템, 극저온 시스템 및 관련 서비스를 포함한 여러 제품 라인을 설계, 제조 및 판매한다. 전날 17% 이상 급등하면서 시가총액은 5조5000억원으로 증가했다. D램향 프로브카드 실적 호조가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메가터치의 최대주주는 티에스이다. SK하이닉스는 국내 업체가 개발한 D램용 프로브카드 최종 품질 테스트를 끝내고 양산 라인 적용을 준비 중이다. 솔브레인이 HBM용, 티에스이(TSE)가 범용 D램용 프로브카드 신뢰성 평가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501.43억으로 전년대비 2.24% 증가. 영업이익은 2.53억 적자로 80.95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0.68 적자로 65.76억에서 적자전환..


2차전지(배터리)·반도체 공정용 장비 부품 생산 업체. 배터리 사업 부문은 배터리 제조공정인 전극 공정, 조립 공정, 활성화 공정 중에서 활성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핀을 제조하고 있으며, 반도체 사업 부문은 비메모리반도체 벨류체인 상 후공정 프로세스 중에서 주로 Wafer Test와 Final Test 등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핀을 제조. 주요 제품으로는 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 PIN과 CLIP, 그리고 반도체 TEST용 PROBE PIN, ICT PIN 등이 있음. 주요 상표는 MEGATOUCH. 최대주주는 티에스이(45.60%).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490.45억으로 전년대비 24.32% 증가. % 증가. 영업이익은 80.95억으로 226.67% 증가. 당기순이익은 65.76억으로 91.83% 증가. 


2023년 11월9일 상장, 당일 79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작년 12월9일 2725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26일 509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3월11일 351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14일 467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391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407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45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49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