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뉴스·공시

[위기의 K-기업]下 "한국 기업 중간재 없어졌다...수출 다변화가 살길"
2023/06/14 17:13 뉴스핌

[서울=뉴스핌] 김지나 이지용 기자 = "만약 중국 수출 품목이 지금과 같이 3~4개로 한정되지 않고, 더 많았다면 지금과 같이 수출이 한 번에 꺾이는 일은 없었겠죠. 중국 수출이 잘 될 때 가려져 있던 문제들이 수면위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 수출 둔화 문제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수십 년간 중국 시장 수출에 의존해 왔던 국내 기업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수출 중심의 우리나라 경제구조에서 기업들은 수십 년 동안 중국에 중간재를 주로 수출해 돈을 벌어왔다.

하지만 코로나시기를 거치고 중국의 중간재 기술 자립도가 높아지며 중국 입장에선 한국 기업들이 생산하는 중간재를 수입할 필요성이 줄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화에 맞춰 한 발 늦긴 했지만 수출 품목을 다각화하고 수출 활로를 다변화 시키려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조언한다.

◆"中소비 늘어도 국내기업 수출 늘기 어려워"

14일 한국무역협회 '대중국 수출 부진과 수출시장 다변화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수출 자립도는 중간재를 중심으로 눈에 띄게 올라갔다. 중국이 막대한 보조금을 쏟으며 국가 차원에서 육성해 온 디스플레이 수출 자립도는 2015년 -0.137에서 2022년 0.899로 올라갔다. 숫자가 1에 가까울수록 수출 자립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이차전지의 경우 0.595에서 0.931로 올라갔고, 기계류는 0.814에서 0.844, 철강 0.757→0.725, 자동차 부품 0.421→0.619, 석유화학 -2.115→-0.277 등으로 자립도가 올라갔다. 중국 기업들이 수입 의존 없이 중간재를 스스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한 것이다.

문제는 중국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기업들이다. 하반기 기대됐던 중국 '리오프닝 효과'가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 내년 쯤 리오프닝 효과가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국내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예전만큼 실익을 거둘 수 없을 것이란 어두운 전망이 잇따른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국은 이미 위드코로나 기간을 거치면서 자동차 부품이나 디스플레이 자급화를 달성했고, 앞으로 전자제품 소비가 늘어도 국내 기업들의 수출이 늘긴 어려울 것"이라며 "단 메모리 반도체는 기술력이 안돼서 우리나라 기업의 것을 수입해야 하지만, 미중 갈등으로 이 마저도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현재 미국은 중국과의 패권전쟁에서 반도체 기술을 핵심 기술로 지목하고 중국이 반도체 자국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 하도록 다각도로 방어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미국 기업이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를 발표한 것도 그 일환이다.

다행히 중국에 공장을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서 미국은 1년간 유예조치를 해 줬지만, 단기적 유예조치가 언제 끝날지 몰라 양 사 입장에선 중국 반도체 공장 가동에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다.

◆"中에서 벗어나 韓기업 새로운 판로·공급망 찾아야"

이에 전문가들은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수출 품목을 다각화하고 수출 대상국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리나라 수출액 기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중국으로 올해 1~3월 기준 19.5%이고, 이어 미국 17.8%, 베트남 8.3%, 일본 4.7%, 홍콩 3%, 인도 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도 시장은 포스트 차이나로 주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 대국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인도시장 공략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데, 애플은 2025년까지 인도 생산 비중을 현재 5%에서 25%로 확대할 목표를 밝혔다. 이외에도 구글, 삼성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이미 중국의 원자재와 중간재는 자립도를 키운 만큼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판로와 공급망을 찾아야 한다"면서 "예전부터 미국이냐 중국이냐를 두고 전략적 모호성이 있었는데 미국과는 커플링, 중국과는 디커플링이란 새로운 생태계를 받아들여 그 안에서 판로와 공급처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석병훈 교수는 "다수의 해외 기업들이 하고 있는 '차이나+1' 전략으로 인도나 베트남 등을 수출 시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면서 "정부 차원에서도 반도체에 대한 단일 품목 수출이 높아 K-콘텐츠나 2차전지, 바이오 등 산업의 수출 주력 상품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bc123@newspim.com leeiy5222@newspim.com

베트남~중국 국경검문소 여객버스 운행
삼성전자·SK하이닉스 '숨통'…美, 중국 반도체장비 반입규제 유예 예고
한덕수 "중국 원전 삼중수소 1000조 베크렐...후쿠시마 오염수보다 많아"
한덕수 "중국 디커플링 추진한 바 없어...尹·시진핑, 좋은 대화 했다 들어"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