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뉴스·공시

은행권, 홈플러스 사태에 골목상권 "연쇄도산" 우려
2025/03/13 10:20 뉴스핌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은행권이 홈플러스 사태로 인한 골목상권 연쇄도산을 막기 위한 긴급지원을 강화한다. 자체 피해는 제한적이지만 입점, 협력업체 손실 확산 우려가 큰 만큼 운영자금지원 및 만기연장, 우대금리 등 다각적인 조치를 추진한다. 금융지원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해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카드와 삼성카드, 현대카드 및 KB국민카드 등 주요 신용카드사들은 홈플러스 상품권 구매 및 충전에 대한 결제 승인을 중단했다. 이는 고객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로 홈플러스 사태가 악화될 경우 다른 카드사들의 결제 승인 중단도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운영하는 홈플러스가 4일 오전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가운데, 홈플러스 영등포점 신호등에 빨간불이 들어와 있다. 2025.03.04 yym58@newspim.com

신라면세점과 CJ푸드필, 에버랜드 등 홈플러스 제휴사들도 상품권 사용을 막은 상태다. 정산지연에 따른 입점업체들의 피해가 확산되는 가운데 홈플러스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 등 단기채권뿐 아니라 부동산 펀드 등의 손실 우려까지 커지는 상황이다.

사태가 커지고 있지만 은행권 자체적인 피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홈플러스 관련 익스포져(위험노출액)는 1조4000억원이 넘지만 이중 대다수인 1조2000억원은 메리츠금융(증권·캐피탈·화재)에 집중됐으며 은행은 국민은행 546억원, 신한은행 288억원, 우리은행 270억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납품업체 대출 규모 역시 30억원 내외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 보유 부동산 자산이 4조7000억원에 이르기 때문에 채권 회수에도 큰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역시 은행권 영향은 적을 것이라 전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홈플러스 사태가 골목상권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상당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홈플러스 입점업체 규모만 1000여개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들과 2~3차 계약을 맺은 영세업체들의 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내수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이번 사태 여파까지 더해지면 예상보다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은행권은 홈플러스로부터 대금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금융지원을 확대하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국민은행은 업체당 최대 5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만기 도래 대출금도 일부 상환없이 기한을 연장한다. 금리우대 및 수수료 감면 등도 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은 연체 이자를 감면하고 하나은행은 업체당 최대 5억원 이내의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과 원금 상환없이 최대 1년 내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최대 1.3% 범위 내 금리 우대 등을 지원한다.

우리은행과 농협은행 역시 최대 5억원의 자금(대출)을 지원하고 기업은행(024110)은 최대 5억원의 물품대금 결제, 급여 등 운전자금과 대출금리도 최대 1.3%포인트 감면 등을 제공한다.

은행권은 홈플러스 사태로 인한 입점 및 협력업체 피해가 확산될 경우 추가적인 지원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금융지원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한만큼 당국 차원의 조속한 피해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도 전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입점업체 피해가 심각할 것으로 예상돼 일단 빠르게 금융지원을 마련했다"며 "필요한 경우 추가지원도 검토한다. 내부악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맡은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

"MBK와 엮이면 금융당국에 눈치보여"...롯데카드 매각, 장기전 조짐
MBK·영풍 "의결권 제한 주장은 '아니면 말고' 주총 파행 전략"
신한·삼성·현대·KB국민카드 등 홈플러스 상품권 결제 중단
홈플러스의 'CP 쪼개기 발행' 의혹···개인투자자 손실 우려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