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공시
딥시크 수혜 기대감에…중국 반도체 테마주 '급등'
2025/02/03 09:22 한국경제
중국 딥시크가 '가성비 인공지능(AI)'을 출시한 후 관련주가 연일 급등
하고 있다.
3일 오전 9시19분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GRT는 전장 대비 1275원(29.96%) 뛴 5 530원에 거래되고 있다. 피델릭스(22.4%)와 엠케이전자(20.92%)도 20% 넘게 오 르고 있다.
이들의 주가는 연일 불을 뿜고 있다. 딥시크를 비롯한 중국 AI 기업이 미국 빅 테크의 대항마로 급부상하며 중국 AI 밸류체인(가치사슬)에 속한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면서다.
GRT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웨이퍼 절단 과정에 쓰이는 보호 필름 등 정밀 코팅 기능성 소재를 생산한다. 작년 딥시크의 파트너사로 알려진 중국 AI 서버업체 랑차오정보와 9000만위안(약 180억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피델릭스는 반도체 설계전문기업(팹리스)다. 최대주주는 중국 둥신반도체(지분 율 30.2%)로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기업 SMIC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마찬가 지로 중국 기업인 엠케이전자는 중국 쿤산을 거점으로 현지 반도체 후공정업체 에 소재를 공급한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일 오전 9시19분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GRT는 전장 대비 1275원(29.96%) 뛴 5 530원에 거래되고 있다. 피델릭스(22.4%)와 엠케이전자(20.92%)도 20% 넘게 오 르고 있다.
이들의 주가는 연일 불을 뿜고 있다. 딥시크를 비롯한 중국 AI 기업이 미국 빅 테크의 대항마로 급부상하며 중국 AI 밸류체인(가치사슬)에 속한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면서다.
GRT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웨이퍼 절단 과정에 쓰이는 보호 필름 등 정밀 코팅 기능성 소재를 생산한다. 작년 딥시크의 파트너사로 알려진 중국 AI 서버업체 랑차오정보와 9000만위안(약 180억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피델릭스는 반도체 설계전문기업(팹리스)다. 최대주주는 중국 둥신반도체(지분 율 30.2%)로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기업 SMIC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마찬가 지로 중국 기업인 엠케이전자는 중국 쿤산을 거점으로 현지 반도체 후공정업체 에 소재를 공급한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속보
- [실적속보]피델릭스, 3년 중 가장 낮은 영업이익,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0.5%↓ (개별) 라씨로
- [특징주] "딥시크" 수혜 나홀로 급등株? 뉴스핌
- 딥시크 수혜 기대감에…중국 반도체 테마주 '급등' 한국경제
- 中 딥시크 덕에 뛴 네이버·카카오…잘 나가던 전력 인프라는 급락 한국경제
- 특징주, 피델릭스-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상승세에 22.14% ↑ 라씨로
- '피델릭스' 10% 이상 상승, 전일 외국인 대량 순매수 라씨로
- [실적속보]피델릭스, 올해 3Q 매출액 124억(-7.4%) 영업이익 -6.8억(적자전환) (개별) 라씨로
- [장중수급포착] 피델릭스, 외국인 17.70만 주 대량 순매수... 주가 +3.86% 라씨로
- '피델릭스' 10% 이상 상승, 전일 외국인 대량 순매수 라씨로
- [장중수급포착] 피델릭스, 외국인 12.81만 주 대량 순매수... 주가 +2.15% 라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