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공시
“정부, 마이크로바이옴에 1조2000억원 투자…지놈앤컴퍼니 등 주목”
2022/01/04 09:09 한국경제
정부가 1조2000억원을 투자해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육성에 나선다. 관련
국내 기업의 신약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신한금융투자는 4일 정부의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육성은 국내 기업에게 글로벌
선두 업체와의 격차를 좁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동건 연구원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 내에서는 글로벌 선두그룹과 국내
기업 간 기술 격차가 크지만, 새롭게 등장한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내에서는 좁
다”며 “현재 세계 최초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이 없는 상황에서 국
내 기업들 역시 임상 2상 또는 1상 진행 중인 만큼 적극적 투자로 격차 축소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정부, 마이크로바이옴에 1조2000억원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29일 ‘제36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rsq
uo;에서 1조원 규모의 마이크로바이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범부처적
통합 연구지원체계 구축과 마이크로바이옴 신산업 육성,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목표다.
현재 범부처 프로젝트인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를 구축
중이다.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약 1조1500억원을 투자한다. 오는 3월
까지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초안을 수립해 올 상반기 최종 확정한다는 계
획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체내의 미생물군 및 관련 유전정보를 의미한다. ‘미생
물군집(microbiota)’와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다. 식품
건강 축산업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중이다. 과거 식음료 분야에서 주
로 사용됐으나 최근 다양한 질환과 장내 미생물 환경 간 연관성이 밝혀지며 바
이오·헬스케어 분야로 활용성이 확대됐다.
이 연구원은 “현재 상용화된 마이크로바이옴 플랫폼 기반 의약품은 세계
적으로 아직 없는 상황”이라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회사들이 마이
크로바이옴 의약품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대표 기업은 세레스 테라퓨틱스와 이벨로, 4D파마, 베단타 바이오사이언
스 등이 있다. 이 중 세레스 테라퓨틱스가 시판에 가장 근접해있다. 다른 회사
들은 임상개발을 진행 중이다.
세레스 테라퓨틱스는 총 4개의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후보물질을 보유했다. 대
표적인 건 ‘SER-109’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판매허가를
심사 중이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 감염증(CDI)을 적응증으로 한다. 연내 FDA
의 심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허가 획득 시 세계 최초의 마이크로바이옴 신
약이 된다. 지놈앤컴퍼니 등 주목
주목할 만한 국내 기업으로는 지놈앤컴퍼니 고바이오랩 천랩 비피도 제노포커스
를 꼽았다. 지놈앤컴퍼니와 고바이오랩은 임상을 진행 중이다. 천랩 비피도 제
노포커스는 전임상 단계다.
지놈앤컴퍼니는 다양한 분야의 마이크로바이옴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
적인 후보물질은 고형암 대상 ‘GEN-001’이다. 현재 미국 임상 1&m
iddot;1b상 중이다. 국내에서는 위암 대상 임상 2상 중이다. 자폐증 대상 &lsq
uo;SB-121’은 현재 임상 1상 중이다. SB-121은 지놈앤컴퍼니가 2020년 8
월 지분 투자를 통해 자회사로 편입한 싸이오토 바이오사이언스가 보유하고 있
던 물질이다.
지놈앤컴퍼니는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도 추진 중이다. 임상 단계부터 상업화
제품에 이르기까지 전주기 마이크로바이옴 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작년 9월 미국 마이크로바이옴 CDMO 전문기업 리스트랩을 인수했다
. 10월에는 자회사 리스트 바이오테라퓨틱스를 미국에 설립했다. 리스트 바이오
테라퓨틱스는 최근 370억원 규모의 초기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고바이오랩의 후보물질은 ‘KBLP-001’과 ‘KBLP-007’이
대표적이다. ‘스마티옴’이라는 신약 개발 플랫폼을 통해 도출했다
. KBLP-001은 건선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작년 12월 임상 2상 환자 투약을 개
시했다. KBLP-007은 염증성 장질환을 적응증으로, 작년 7월 FDA로부터 임상 2a
상을 승인받았다. 천식 치료제 후보물질 ‘KBLP-002’는 작년 3월 호
주 임상 1상 완료 후, 2상 신청을 앞두고 있다.
천랩은 자체 플랫폼을 활용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진단 및 치료제 개
발을 진행 중이다. 비피도는 가톨릭대 류마티스연구센터와 류머티즘 관절염 치
료제 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을 공동 개발 중이다. 제노포커스는 고온과 위산 등에
안정한 포자를 이용한 포자형성 마이크로바이옴 장 전달 기술을 보유했다.
이도희 기자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속보
- [실적속보]제노포커스, 올해 1Q 매출액 60.5억(+10%) 영업이익 -13.4억(적자전환) (연결) 라씨로
- 제노포커스 자회사 지에프퍼멘텍, 작년 영업이익 315% 증가 한국경제
- 제노포커스 "세계최대 유제품 기업에 락타아제 공급" 뉴스핌
- [실적속보]제노포커스, 작년 4Q 매출액 72.7억(+68%) 영업이익 -11.3억(적자지속) (연결) 라씨로
- [잠정실적]제노포커스, 작년 4Q 매출액 72.7억(+68%) 영업이익 -8.6억(적자지속) (연결) 라씨로
- [장중수급포착] 제노포커스, 외국인 42,814주 대량 순매수... 주가 +29.34% 뉴스핌
- [장중수급포착] 제노포커스, 외국인 42,814주 대량 순매수... 주가 +29.34% 라씨로
- “정부, 마이크로바이옴에 1조2000억원 투자…지놈앤컴퍼니 등 주목” 한국경제
- '제노포커스' 10% 이상 상승, 주가 20일 이평선 상회, 단기·중기 이평선 역배열 라씨로
- [실적속보]제노포커스, 올해 3Q 매출액 65.1억(+58%) 영업이익 -12.8억(적자지속) (연결) 라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