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증권방송 믿고 투자했는데…" 값비싼 후회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1,967 2012/12/25 23:39

게시글 내용

“IT(전자전기) 부품주는 아직 살아있는 것 같습니다. 가장 강한 섹터가 휴대폰 케이스 업체로 S사, M사가 두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목표주가는 1만원입니다.”

‘투자의 고수’라고 자칭하는 한 주식 전문가는 한 증권방송에 출연해 IT 부품주들의 차트를 보여주며, 어떤 업체가 유망하고, 어떤 업체가 별로인지를 스스럼없이 읊었다. 목표주가를 설정하고, 가격이 얼마 밑으로 떨어지면 손절매하라고 안내했다.

화면 옆으로는 실시간으로 투자자들의 반응이나 질문이 올라오면 “E사란 데가 차트가 좀 지저분하긴 한데, 자리가 잡혀가는 중이니 믿고 매수하라”라고 얘기하는 식이었다.

언뜻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떠올리게 하는 이들은 최근 금융당국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일부 증권방송 전문가들이 자신들의 파급력을 이용해 시세 조종에 나서는 일이 비일비재한 탓이다.

금융 감독 당국의 한 관계자는 “자신들이 사놓고 추천하는 행태가 너무 일반화돼 있어 뿌리 뽑기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 미리 사놓고 추천 → ‘따라 사기’ 유인

수법은 이렇다. 증권방송 전문가들은 특정 종목 주식을 미리 대량으로 사들인 뒤, 방송을 통해 이를 반복적으로 추천한다. 시세를 조종하는 작전세력과 손잡고 수십개 계좌를 통해 해당 종목을 매수케 하기도 한다. 주가를 끌어올려 주 시청자(회원)인 전업투자자들의 따라 사기를 유인하기 위해서다.

작년 상반기 증권방송에서 주식전문가로 활동한 A씨는 본인이 개설한 인터넷 카페 회원 B씨의 주식 매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방송에 출연, 회사의 영업이익이 200% 늘어났다는 식의 거짓 정보로 5개 종목에 대해 매수를 추천하면서 일반투자자들을 유인했다. 동시에 B씨는 다수계좌를 이용해 가장(가짜) 매매에 나섰고, 주가를 끌어올리고 나서 보유주식을 고가로 매도하는 방법으로 약 114억원을 챙겼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방송 진행자 1인당 평균적으로 추종하는 회원이 많지는 않지만, 추천 종목에 대해서는 무조건 신뢰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파급력이 꽤 큰 편”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증권방송은 최근 치러진 18대 대통령 선거 기간 주식시장을 뒤흔들었던 정치테마주의 확대, 재생산지로도 이용됐다. 상장기업이 특정 정치인과 친분이 있다거나, 주력 사업이 정책 관련성이 있다는 식의 미확인 사실이 주로 만들어져 퍼졌다. 올해는 총선과 대선이 있었던 만큼 정치테마주를 이용한 불공정거래가 증가했으며, 기업규모가 작고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중심으로 시세조종이 잇따랐다고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 증권방송 추천? 대부분 손실

문제는 구조적으로 증권방송 추천주가 손실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일단 매수 타이밍을 알려주면 개인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며 주가가 오른다. 하지만 적잖은 증권방송이 매도 시점을 제시해주지 않는다. 매도 타이밍을 알려주지 않다 보니 투자자들이 제각각 매도에 나서는데, 조금씩 떨어지다가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면 투자자들이 대거 매도세에 합류한다. 이 경우 주가가 되레 더 내려가기 일쑤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평가차익(매도하지 않았을 때 수치상으로 잡히는 이익)은 높게 나와도, 실제 차익은 얼마 안 나오는 것이 증권방송 추천주의 함정”이라고 꼬집었다.

매도 시점을 알려주는 증권방송도 불공정 소지가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매수 가격, 매도 가격을 제시하고 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매매하면 사실상 시세조종과 다를 바 없다. 금융 감독 당국의 한 관계자는 “적극적인 시세조종은 아닐지 몰라도 시세조종이 될 것을 알고도 묵인하는 행태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감독 당국 “잡기도 어렵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증권방송 부정거래가 포함되는 시세조종의 경우 평균 부당이득금액은 10억원 정도였고, 동원된 계좌수는 평균 33.4개였다(상반기 기준). 50개 이상의 계좌를 이용한 경우도 17건(21.8%)에 달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한국거래소가 불공정거래를 파악해 통보해도 실제 형사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거래소와 금융감독원 등 관계자는 “계좌 추적을 할 수 없는데다 해당자들이 본인 계좌로 거래하지 않기 때문에 부정거래 및 시세조정 심증이 있어도 혐의가 뚜렷하게 안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입을 모았다. 경제사범에 관대한 처벌하는 분위기 때문에 실제 검찰 고발로 연결되더라도 가벼운 벌금형에 그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기도 하다.

이에 감독 당국은 양형 기준 강화 등을 담은 시장감시체계 구축 및 대응방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조치는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증권방송 부정거래 혐의로 포착된 주식 전문가들에 대한 조사결과도 내놓는다.

이들은 현재도 유명 증권방송에 버젓이 출연 중이며, 전업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유명인사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실제 매매를 하지 않았더라도, 해당 종목을 오인할 수 있게 된 것만으로도 죄질이 나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투자자들의 제보가 큰 힘”

증권방송 전문가들이 스스로 공표하는 수익률이 높은 것은 그들만의 계산법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A 종목을 추천했다고 하자. 그런데 A 종목 주가가 급등해 200% 올랐다면, 자신들이 추천해 200% 상승했다고 홍보한다. 만약 반 토막 수준까지 떨어진다면? 주가가 하락하면 10% 이상 떨어질 경우 손절매한다고 가정해 손실률을 최대 10%로만 잡는다. 당연히 추천 수익률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

유명한 사이버 애널리스트의 경우, 종목 추천과 동시에 상한가까지 치솟을 정도로 시장 파급력이 크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전업투자자는 이들에게 몰린다. 하지만 자칭 증권방송 전문가인 그들은 주가가 오르자마자 거침없이 주식을 매도한다. 결국은 투자자들이 당할 수밖에 없다.

감독 당국은 피해자들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다. 인터넷 증권방송만 해도 수백, 수천개에 달하는 만큼 모두 일일이 모니터링할 수가 없는 구조기 때문이다.

감독 당국의 한 관계자는 “소위 주식 투자는 본인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작전에 의한 손실은 일종의 피해를 봤다고 보는 게 맞다”면서 “손해를 봤다면 혼자 앓지 말고 적극적으로 제보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Copyrights © ChosunBiz.com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