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해운경기, 대세 상승 타진

작성자 정보

상인

게시글 정보

조회 2,004 2016/04/16 22:34
수정 2016/04/16 22:38

게시글 내용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맨 위는 BDI Daily View, 가운데는 Weekly View, 맨 아래는 5년간 차트 ]


 


벌크선 운임을 나타내는 BDI가 4월 13일 567에서 4월 14일 597(+30, +5.29%), 4월 15일 635(+38, +6.37%)로 연 이틀 급등하면서, 글로벌 해운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200일 이동평균선(645.22)에 바짝 다가섰다. 연 중 최저치인 2월 10일의 290 대비 119% 상승.

 


만일, BDI가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 안착하게 된다면, 해운 경기는 2008년 이래 장기간의 하락 추세를 멈추고, 대세 상승세로 진입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는 셈이고, 당연히 글로벌 경기도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는 징표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택배맨이 4월 9일字로 대한해운 종목토론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는 BDI가 올 2월 10일 작성 이래 사상 최저치인 290을 찍고, 4월 8일 530으로 약 두 달 만에 86% 급등한 것과, 지난 1년 반 동안 줄기차게 실시해 온 중국 인민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이 경기부양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한때 경착륙 우려까지 제기됐던 중국 경제 전반이 안정을 찾고 있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가 되살아나고 있고, ‘중국 엑소더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급속하게 진행되던 자본 유출도 진정되고 있다는 보도가 있음을 전한 바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4월 13일에는 중국의 3월 수출이 예상 밖의 호조를 보여서,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했고, 2분기도 좋을 것이라 하는 보도가 있었다. 중국이 철광석 수입을 크게 늘리면서 철광석 가격도 급등했고, 그 영향으로 물동량이 증가하여 BDI가 위에서 보듯이 급반등하고 있는 것. (올 들어서 중국 내수 후판 등 철강제품도 가격 급등함)

 


중국의 주택경기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여기에 공산품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아직은 좀 더 추이를 확인해 봐야 하겠지만, 중국의 경기 전반이 회복되는 시그널을 주고 있는 게 아닌가 추정해 볼 수 있을 텐데, 2000년대 들어서 사례가 나타난 바, 중국의 경기 회복은 결국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귀결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아니더라도, 중국과의 교역 비중이 가장 큰 우리나라는 여러 부문에서 중국 경기 회복의 최대 수혜국이 될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하여, 글로벌 경기 회복의 단초를 제공하는 중국 주택경기의 최근 회복세, 철광석 가격 급등과 BDI 급등은 이미 현재 진행형이므로, 해운산업은 그 어떤 업종보다도 선제적으로 이를 반영하게 될 것이고, 이 또한 팬오션의 주가 급등을 필두로 우리 증시에서도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입니다. 성투하십시요.

<택배맨>TVman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