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 삼성전자(우): D램 점유율 압도적 1위(44%): 반 독점적 -->매수 적기

작성자 정보

나리

게시글 정보

조회 265 2021/12/21 16:19

게시글 내용

■ 삼성전자(우):  D램 점유율 압도적 1위(44%): 반 독점적 -->매수 적기

    2023년말:  20만원  전망: 그럼 지금은 저가 매수 기회!


■ 지금은 5년 주기 반도체 호황기: 5년간 주가 급등 상황: 선 매수 유리!
    2015~2017(반도체 호황기): 300% 급등 아시나요?
    2021~2023(반도체 호황기): 300% 급등 상황: 매수 이유 충분



삼성전자가 올 들어 3분기째 D램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면서 압도적인 1위를 지켰다

미국 마이크론과의 점유율 격차가 '더블 스코어'에 가깝다.

전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난을 두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삼성전자를 잇따라

초청했던 배경이 이런 저력에 있다는 평가다.
12/21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 3분기 D램 시장점유율 43.9%

삼성전자의 D램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41.0%에서 올 1분기 41.2%,

2분기 43.2%에 이어 3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을 따로 떼내면 합계 71.5%로

올 3분기 전 세계 D램 가운데 '메이드 인 코리아'가 '열에 일곱'을 넘어섰다는 분석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은 평균판매가격 상승과 출하량 증가 덕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올 3분기 D램 매출은 약 13조729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약 8조5366억원 보다 60.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3분기 반도체 부문 전체 매출에서도 삼성전자는 209억5800만달러(약 24조7157억원)으로

인텔(187억8600만달러)을 크게 앞지르면서 11분기만에 세계 1위를 탈환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0월부터 업계 최소 선폭인 14나노미터 EUV(극자외선) 공정을 적용한

차세대 DDR5 D램 양산을 시작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직전 세대보다 생산성을 20%

개선한 선단공정 기술을 앞세워 당분간 압도적인 선두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본다

KB증권은 "내년 D램 수요는 북미 4대 데이터센터 업체를 중심으로 올해보다 20~23% 늘면서

삼성전자의 D램 공급을 웃돌 것"이라고전망했다. 대신증권도 "올 4분기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폭이 제한적일 전망"이라며 "D램 가격이 내년 3분기부터 다시 상승사이클에 진입할 것

* 출처) 심재현 기자 

게시글 찬성/반대

  • 1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