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종목현미경]GS건설_거래비중 기관 26.49%, 외국인 24.16%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417 2020/05/26 14:02

게시글 내용

- 위험대비수익률 1.9, 업종지수보다 높아
- 관련종목들 상승 우위, 건설업업종 +3.98%
- 증권사 목표주가 34,400원, 현재주가 대비 28% 추가 상승여력
- 외국인/개인 순매수, 기관은 순매도(한달누적)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35%로 적정수준
- 거래비중 기관 26.49%, 외국인 24.16%
-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 주요 매물구간인 44,15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위험대비수익률 1.9, 업종지수보다 높아

26일 오후 1시55분 현재 전일대비 11.23% 오른 26,750원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GS건설은 지난 1개월간 6.57% 상승했다. 동기간 동안에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3.3%를 기록했다. 이는 건설업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GS건설의 월간 주가수익률이 상당히 높았던 만큼 변동성도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GS건설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1.9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높은 편이나 위험대비 수익률은 그렇게 높지 않다. 그럼에도 건설업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0.9보다는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GS건설이 속해 있는 건설업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수익률은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은 지수보다 크게 오르락 내리락 했지만, 상승률은 오히려 지수보다 못하다는 의미이다.
  위험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순위 % 순위 % 순위
HDC현대산업개발 1위 3.6% 1위 22.4% 1위 6.2
GS건설 2위 3.3% 2위 6.6% 3위 1.9
대림산업 3위 2.9% 4위 -0.8% 4위 -0.2
현대건설 4위 2.3% 5위 -4.3% 5위 -1.8
대우건설 5위 2.0% 3위 4.5% 2위 2.2
코스피 - 1.1% - 6.8% - 6.1
건설업 - 1.7% - 1.6% - 0.9

관련종목들 상승 우위, 건설업업종 +3.98%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상승이 우세한 가운데 건설업업종은 3.98% 상승중이다.
대림산업
84,500원 ▲4600(+5.76%) 대우건설
3,600원 ▲105(+3.00%)
현대건설
33,800원 ▲1400(+4.32%) HDC현대산업개발
22,950원 ▼350(-1.50%)

증권사 목표주가 34,400원, 현재주가 대비 28%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GS건설의 평균 목표주가는 34,400원이다. 현재 주가는 26,750원으로 7,650원(28%)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메리츠증권의 박형렬 에널리스트가 " COVID19 이후 시장 확대 본격화 전망, 동사의 가장 큰 투자포인트는 2020년 신규 분양의 회복과 해외 개발사업 현실화. 2019년 1.5만호 분양, 2020년 재건축/재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2.5만호 분양 계획. COVID19 영향으로 4월까지 부진하였으나, 대부분의 분양이 7월 이전 계획. 실제로 계획된 분양이 이루어질 경우 2021년까지 영업이익 증가는 담보될 것. 2020년 인수한 모듈하우스 관련 업체들 역시 향후 베트남 분양 시장의 공급 속도 확대와 연계될 전망.…" (이)라며 투자의견 BUY에 목표주가: 37,000원을 제시했고, SK증권의 신서정 에널리스트가 " 분양을 넘어 중장기 그림을 그리다, 신사업 분야에서 올해 매출은 8,500 억원 이상이 예상. 이니마 3,800억원을 비롯하여 모듈부문도 비슷한 수준의 매출이 기대. 베트남 사업도 올해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추가적으로 Captive Market을 활용하여 엘리베이터/알폼/PC 사업 등에서의 시너지효과를 노려볼 수 있겠음. 지베스코를 통해 부동산 개발, 인프라 SOC 사업, 환경 사업 등에서의 사업을 꾸준히 발굴할 예정이며 향후 GS 건설 부문과 시너지효과가 기대.…" (이)라며 투자의견 BUY(유지)에 목표주가: 37,000원을 제시했다.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35%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GS건설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35%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22%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26.49%, 외국인 24.16%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48.14%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26.49%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24.16%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50.23%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27.93%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20.44%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적으로 정배열을 만들며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침체 약세 보통 강세 과열 
   주가
   거래량
   투자심리

주요 매물구간인 44,15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44,15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44,150원대는 전체 거래의 13.5%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41,95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2매물대인 41,95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2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41,950원대의 저항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


[포인트검색]
5월26일13시55분 :지에스건설(주) 주식선물 2단계 가격제한폭 확대요건 도달(상승)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