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금리급등, 증시 매력있을까?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316 2007/11/30 09:05

게시글 내용

"국민은행에 가면 6.2%로 하는 예금금리가 있습니다."

금리가 급등하고 있다. 저금리를 바탕으로 한 주식시장의 매력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굳이 위험을 무릎쓰고 주식투자를 할 필요가 있을까. 전문가들은 금리급등에 우려를 나타내면서 아직 주식시장의 매력이 넘친다고 주장했다.

29일 국고채 3년물 수익률은 6.03%로 6%대를 넘어섰다. 3년물이 6%대를 기록한 적은 2002년 6월14일이후 5년5개월만에 처음이다. 5년물은 전날 이미 6%대를 진입했다.

3년물과 5년물은 지난해말 각각 4.92%, 5.00%에 불과했다. 1년도 채 안돼 1%포인트이상 금리가 오른 셈이다.

은행권의 예금금리도 상승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최근 '국민수퍼정기예금'의 영업점장 전결금리와 본부승인 금리우대폭을 높였다. 이에 따라 이 상품의 금리는 최고 연 6.2%로 높아졌다.

저금리를 바탕으로 한 주식시장의 매력이 감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1900의 코스피지수가 10%가 오른다면 가정하면 2000에 육박한다. 리스크가 높은 주식투자의 수익률이 예금금리보다 4%포인트도 높지 않은 셈이다. 주식의 초과수익률을 나타내는 일드갭은 2%대로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CD금리는 12일째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5.57%를 기록했다. CD금리는 담보대출금리와 연동되는 만큼 기업과 가계의 부담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기업 실적과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말이다.

금리 상승은 국내 경기의 회복과정이라는 해석이 가능하지만 자체만으로 부담이 된다. 게다가 급하게 뛰는 속도는 자금시장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마저 낳고 있다. 실제로 이날 한국은행은 채권시장의 안정을 위해 1조5000억원의 국고채 단순매입이라는 카드를 내놓았다.

신성호 동부증권 상무는 "주식시장을 보기 전에 금리를 봐야한다"며 "금리 상승은 주가 상승을 제약하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금리가 높게 유지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면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소장호 삼성증권 연구원 역시 "주식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상승은 심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금리 상승 배경이 일시적인 수급 문제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신 상무는 "아직 주식시장이 견딜만한 수준"이라며 "다만 회사채금리가 7%가 넘으면 주식시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동필 하나대투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금리 급등이 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자금의 수급불안이 기저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전반으로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김학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반전이 끝나 점검을 할 필요는 있지만 이제 후반전 20여분을 지났을 뿐"이라며 "기대를 쉽게 버릴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저금리를 바탕으로 주식시장의 매력이 부각되면서 주식시장이 최근 몇 년간 강세를 보였지만 아직 여력이 남아있다는 설명이다.

이승우 신영증권 연구원은 "대외적으로 미국의 모기지 부실 등으로 글로벌 경기의 후퇴 가능성이 국내 금리의 추가적인 급등세를 억제할 것"이라며 "6%대의 금리가 고착화되지 않은 이상 주식시장의 상승세 역시 본질적으로 훼손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