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성장주로 변신하는 철강업종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243 2007/09/17 11:52

게시글 내용

최근 국제 유가가 연일 사상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다.

에너지의 압도적인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은 아니지만, 유가가 고공 행진을 하고 있는 배경에는

세계 경제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여 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큰 우리로서는 한편으로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하겠다.

 

2005년도를 전후하여 당시 유가가 사상 최고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을 때,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광물 자원, 곡물 등과 관련된 원자재 생산/가공 

관련주들의 실적이 엄청나게 호전되었고, 그 결과 관련 주식들의 주가가

폭등한 바 있다.

 

현재 원자재의 블랙홀인 중국의 경제 성장이 지속되고 있고, 인구 10억이 넘는

인도가 또한 중국의 후발 주자인 양 발전하고 있으며,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서남아시아 및 동구권, 남아메리카 국가들도 과거와는

달리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 에너지와 함께 국제 원자재 수급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공급자 우위가 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이 전망하고 있다.

 

포스코가 삼성전자 주가를 추월하여 최고가인 60만원대를 돌파하자 오늘

자료를 보면, 증권사들이 포스코의 목표주가를 70만원대 이상으로 올려 잡고

있고, 현대제철이나 동국제강도 포스코와 비슷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 우리 증시에서 8월 들어 중소형 철강주들의 사상 최대의 거래량을

터뜨리며 단기에 100%에서 300%나 급등하는 종목들이 속출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본 택배맨이 9월 11일자 게시글에서 언급한 종목들을 살펴 보면,

 

먼저 M&A 관련주로,

동일철강(023790) - 구본호씨가 인수 후 8월 8일 9만7,000원에서 오르기 시작,

9월 11일 145만원을 기록하여 한달 여 만에 무려 1,400% 상승.

케이앤엔터테인먼트(037830)는 동국제강 창업주의 3,4세들이 인수한 뒤 주가가

8월 21일 985원에서부터 오르기 시작하여 현재 거래가 급감한 상태에서 상한가인

9월 14일 4,585원 기록하여 20여일만에 약 380% 상승.

 

그 외의 소형 철강주로는,

DSR제강(069730) - 8월 17일 1,710원에서 9월 12일 6,050원으로 약 254% 상승.

문배철강(008420) - 8월 17일 2,665원, 9월 16일 오전 8,980원으로 약 237% 상승.

NI스틸(008260) - 8월 17일 1,370원, 9월 16일 오전 4,810원으로 약 251% 상승.

배명금속(011800) - 8월 17일 885원, 9월 16일 오전 상한가 2,280원, 약 157% 상승.

우경철강(025920) - 8월 17일 9,820원, 9월 13일 33,950원으로 245% 상승.

삼현철강(017480) - 8원 17일 3,800원, 9월 12일 7,250원으로 90% 상승.

부국철강(026940) - 8월 17일 4,080원,  9월 12일 8,650원으로 113% 상승.

대동스틸(048470) - 8월 17일 2,365원,  9월 16일 현재 4,345원으로 83% 상승하고

있으며,

 

9월 11일 첫 상한가를 기록했던 3개종목으로,

미주제강(002670) - 8월 16일 775원, 9월 16일 현재 상한가 1,545원, 99% 상승 중.

동양철관(008970) - 8월 2일 1,140원, 9월 16일 현재 상한가  2,320원, 103% 상승 중.

대호에이엘(069460) -  8월 17일 1,365원,  9월 12일 2,380원으로 74% 상승 중으로

대부분의 종목들이 직전 고점을 뚫고 재 상승중이거나 직전 고점 돌파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들 종목 외에도 연중 많이 오른 중소형 철강주를 보면,

동국산업(005160) - 1월 23일 1,390원에서 8월 9일 12,750원으로 817% 상승했고,

제일제강(023440) - 8월 17일 1,615원, 9월 6일 3,135원으로 94% 상승.

동양에스텍(060380) - 8월 17일 2,510원, 9월 16일 현재 4,850원으로 93% 상승 중.

 

그 외에 더 있겠으나 나머지는 지면 관계상 생략함.

 

이렇게 많은 종목들이 초 대량 거래를 보이면서 급등하고 있으나, 현재 포스코의

시세가 끝나지 않았다면, 어쩌면 이들 중소형 철강주들의 시세가 상승폭이 큰데도

불구하고 아직 진행 중일 가능성이 많지 않을까?

 

이제는 이들 철강주들도 굴뚝 산업으로 폄하할 게 아니라 성장 산업으로 재평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의 경제 성장을 토대로 전

세계의 경제 성장이 담보되는 현재의 여건에서 볼 때, 에너지/철강금속/식량 등의

원자재 생산/가공 관련 산업은 앞으로 상당 기간 여타 산업 분야에 비해 전반적으로

성장성이 매우 높을 것이 당연시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조선분야가 전 세계 1위의 수주량을 보이는 등, 사상 초유의

호황을 보이고 있고, 해외 건설업체들도 마찬가지로 건설/플랜트 수주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국내 경기도 바닥권을 탈피하고 있다는 정부의 발표로 보아

앞으로 국내 건설 경기도 호전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철강 수요산업의

호황은 철강업체의 호실적이 당분간 지속될 것임을 증명해 주고 있으니, 국내외

여건 모두가 철강업에 우호적이라 높은 성장성을 보여줄 것이라 보이기 때문이다.

 

하여, 이러한 철강업황의 호조를 기대한 중소형 철강 종목들의 대량의 주식

손바뀜과 주가 급등 현상은 거래가 적은 여타 고가 철강주들로 확산될 가능성이

많으며, 이미 그러한 현상은 시작되고 있다.

 

올 상반기에 실적이 호전된 만호제강(001080)은 거래가 하루에 1천주가 안되는

경우도 많았으나, 8월 16일 65,100원을 단기 바닥으로 하여 8월 24일, 액면을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분할한다는 공시와 함께 거래가 증가하며 단기 급등하여

8월 29일 115,000원을 기록했다. 또한 고려제강은 8월 17일 37,500원(액면가

1,000원)을 단기 바닥으로 상승 전환하여 오늘 9월 16일 오전 중 60,400원으로

61% 상승 중이다.

 

그러므로 위에서 언급한 종목들도 우호적인 철강업황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세를

내기 위한 시도를 할 가능성이 많으며, 상대적으로 아직 시세를 내지 못한 종목들도

새로이 발굴될 것으로 보이며, 그러한 대상으로는 현재의 주가가 기업의 내재가치나

수익성, 성장성 등에 비해 현저히 저평가 된 종목들을 우선 주목하게 될 것이며,

그 중 대표적인 저평가 우량종목으로는 한국특수형강(007280)을 한 예로 들 수

있겠다.

 

성투하십시요.

<택배맨>TVman

 

게시글 찬성/반대

  • 1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