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 적응증 추가 + 2027년 특허까지… 거칠게 없는 ‘놀텍’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638 2014/01/24 22:19

게시글 내용

 

◇ 적응증 추가 + 2027년 특허까지… 거칠게 없는 ‘놀텍’


일양약품의 세계 최초 3세대 PPI제제인 항궤양제 ‘놀텍(성분명: 일라프라졸)’은 2011년에는 18억원, 2012년에는 27억원의 원외 처방액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지난 2013년 11월에는 매출액 9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181.9% 상승한 모습을 나타냈다. 매출 상승 견인에는 미란성식도염 적응증 추가가 한 몫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일양약품은 비미란성 식도염 적응증 추가를 위한 막바지 연구 중에 있다.


지난 해 12월 ‘비미란성 식도염 (NERD)’ 임상 3상을 위한 환자 등록이 마무리 돼 약 4주간의 임상이 이달 중순 경 완료될 예정이다. 또한 ‘H.pylori 헬리코박터 제균’ 적응증 추가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올 한해 매출확대를 이끌고 있는 미란성 식도염(ERD)과 ERD시장의 2배 이상 규모인 비미란성 식도염(NERD) 적응증 추가로 위식도역류질환(GERD)시장 점유율 및 큰 폭의 매출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H.pylori 균’은 전세계 인구의 약 50%와 국내 성인의 약 75%의 감염률을 보이는 광범위 감염균주로 인체 내 감염되면 자연 치유가 힘든 것으로 알려진 장내세균이다. 십이지장궤양에 95%, 위궤양에 80%정도로 발견되고 있으며 제균 시, 소화성궤양의 재발률을 5~10% 이내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같은 계열인 아스트라제네카의 ‘넥시움’이 올해 특허 만료되는 반면 놀텍의 특허는 차별성을 인정받아 2027년 12월27일까지 지속돼 더욱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일양약품 관계자는 “비미란성식도염의 시장 규모를 고려해본다면 적응증 추가 시 최소한 현재의 2.5배~3배 가량의 매출 상승이 예상된다”라며 “이미 계약을 체결한 터키, 중국, 중동 등에서는 올해 가시적인 성과가 예상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타 국가로의 수출을 논의 중에 있다”라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김경선 기자(holicks88@mdtoday.co.kr)

==============================================================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위궤양치료제, 십이지궤양치료로 제로 나와있는 일양약품 혁신신약 놀텍의 신약물질인 일라프라졸이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라는 새로운 용도 특허출원자료가 공개되었습니다


(지식경제부 연구실험과제)


(11) 공개번호 10-2012-0130459

(43) 공개일자 2012년12월03일

(54) 발명의 명칭 : 일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7) 요 약

본 발명은 일라프라졸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라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동시에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아니하므로 암치료에 효과적이다.


[0061] <실시예 1>

[0062] 암세포 성장 억제 실험

[0063]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1의 일라프라졸을 암세포주에 주입하여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0064] 일라프라졸은 I1-Yang Pharmaceutical Company사(한국 서울 소재)로부터 수득하였다.

[0065] 백혈병 세포(K562), 유방암 세포(MDA-MB231), 폐암 세포(A549)와 정상세포(Hacat)에 일라프라졸을 0, 6.25,12.5, 25, 50 또는 100 mM의 농도가 되도록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배양시킨 후 세포생존율을 MTT assay로 확인하였다.

[0066]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세포에서는 일라프라졸을 투여로 생존율에 큰 하락이 관찰되지않았다. 반면, 백혈병 세포(K562)와 유방암 세포(MDA-MB231)에서는 12.5 내지 100 mM의 일라프라졸 투여 농도에 따라서 생존율이 크게 하락하였으며, 그 범위는 동일한 농도가 투여된 정상세포(Hacat)의 생존율 하락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을 확인하였다. 폐암 세포(A549)에서는 50 내지 100 mM의 일라프라졸 투여 농도에서 생존율이 현저히 하락하였으며, 그 범위는 동일한 농도가 투여된 정상세포(Hacat)의 생존율 하락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0067] 이로서 본 발명의 일라프라졸이 암세포의 성장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0068] <실시예 2>

[0069] 마우스에서의 항암효과 실험

[0070]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항암활성이 in vivo에서도 나타나는지 여부를 생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H460 폐암 세포주를 4×106

[0071] cells로 0.1ml 우측 뒷다리에 피하 이식한 Balb/c-nu/nu 마우스에 일라프라졸을 30mg/kg, 100 mg/kg으로 나누어서 23일간 매일 존데(sonde)로 경구 투여한 후 종양의 부피를 측정하여 성장 지연을 평가하였다.

[0072]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암 세포주 이식 종양에 있어 일라프라졸 30 mg/kg, 100 mg/kg 그룹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종양성장 지연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0073]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라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동시에 정상세포에 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아니하므로 항암제 제조에 효과적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