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백신제조시설 보유업체, 높은 성장성 기대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631 2014/08/26 12:34

게시글 내용

제약시장 침체... 글로벌 백신시장이 해답
국내외 정책에 따른 기존 의약품 시장 대비 높은 성장 기대
2014년 08월 25일 (월) 16:37:59 이헌구 기자 dr.leehungoo@gmail.com
앞으로 백신 시장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제약시장의 예상 성장률이 한자리 수 수준으로 성장 기대감이 낮은 가운데 기존 의약품 시장대비 백신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최근 증권가 분석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백신시장은 2013년 기준 약 240억불 규모로 향후 연평균성장률(CAGR)을 12.7% 수준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국제기구의 지원 확대와 최근 에볼라 바이러스 등과 같은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전 세계적인 백신 접종 필요성의 심리작용에 따른 수요 증가 및 백신으로 예방·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 확대됨에 따라 백신의 용도 확대가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백신시장은 약 7,000억원 수준의 규모를 달성했으며 지난 2011년 독감백신 과잉공급에 따른 가격 하락 등에도 불구하고 고가 백신들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2012년 이후 12% 이상의 성장을 유지한 것으로 분석자료에서 나타났다.
2012년 기준 국내 자체 생산 백신은 주요 백신 27종 중 10종 뿐인 약 40% 수준으로 수입백신의 점유율이 더 높아 정부는 백신의 공급 및 가격 안정화를 목표로 주요 27개 백신에 대해 국산 자급화 정책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에 따라 2020년까지 80% 정도의 백신을 자급화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으며 초기 국내 백신 생산시설을 마련한 업체들이 필수접종시장 3,000억원의 국산화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해당업체들이 향후 제품 라인업을 기타접종 백신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존 제약사 대비 높은 성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녹십자, 일양약품, SK케미칼은 국내에서 백신 자체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초기 백신 자급화 정책’에 따른 수혜를 나눠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