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대심도는 삼호개발 NATM공법이 대세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2,458 2009/09/21 09:14

게시글 내용

[꿈의교통수단 대심도GTX](4)첨단 건설공법의 산실
[이투데이] 2009년 06월 08일(월) 오후 03:05 가  가| 이메일| 프린트 
[이투데이] 설경진 기자
한국의 터널 뚫는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산이 많은 국토의 특성상 터널 구간이 포함된 도로와 철도 공사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터널 굴착 공법은 크게 발파공법(NATM)과 기계굴착(TBM) 방식이 있다. NATM은 폭약을 사용해 바위를 깨면서 굴을 뚫는 방식이다. 비용이 적게 든다. 한국은 NATM 방식으로 8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700㎞를 시공한 경험을 자랑한다. 단점은 발파 때 진동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것도 기술로 거의 극복했다.
원통 모양의 기계로 굴착하는 TBM은 비용이 더 들긴 해도 굴 뚫는 속도는 NATM을 앞선다. 다만 장비 국산화가 덜 돼 있고 실패 사례도 있어 국내에서 널리 활용되지 않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기술 수준도 떨어진다. 따라서 대심도 터널을 뚫을 때는 NATM 방식을 주로 쓰되 TBM 방식을 보조 공법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터널 굴착 비용 역시 얕은 터널을 뚫을 때보다 적게 든다. 지하 깊은 곳의 암반은 토사층보다 단단해 지보(터널이 무너지지 않게 보강하는 장치)를 덜 설치해도 되기 때문이다.
땅 보상비가 적게 들어간다는 점이 대심도의 가장 큰 매력이다. 토지 보상비 산정 기준으로는 서울시 ‘지하부분 토지 사용 보상기준 조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용지규정’, 한국감정평가협회 ‘토지보상평가지침’ 등이 있다.
서울시 조례는 토지 소유자의 통상적 이용행위가 예상되지 않고, 지하 시설물 설치로 인해 일반적인 토지 이용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깊이를 ‘한계심도’로 규정했다. 조례에 따르면 한계심도는 지하 40m로 보상 비율은 땅값의 0.2% 이하다. 이보다 얕은 20m 이내는 0.5~1%, 20~40m는 0.2~0.5%다. 일정 깊이 이하의 지하 공간은 전혀 보상하지 않는 나라도 많다.
독일의 경우 10m까지 5%, 25m까지 1% 정도 보상하고 30m 이하는 아예 보상하지 않는다. 보상비가 줄기 때문에 대심도 철도의 건설비는 일반 철도보다 ㎞당 300억원 이상 적은 900억원이면 된다. 서울 지하철 9호선 건설에는 총 3조4600억원, ㎞당 1360억원이 들어갔다. 역 수가 적어 역사 건설비도 줄일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당 1300억원 이상 들어가는 일반 지하철에 비해 건설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NATM"공법으로 그동안 서울지하철,부산지하철등 대부분 지하철 공사를 해왔고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중 해저터널도 수심이 평균 80M이내로 대부분 "NATM" 공법이 사용되고,TBM공법과 재래식 공법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게 맞습니다.
그동안 TBM공법의 울트라,특수,동아지질이 GTX 및 해저터널의 1등수혜주들은 정말 잘못 알려진 사실입니다.
비용이 저렴하고 세계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굳이 비싼 외국 TBM을 들여와 터널굴착한다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의 생각과는 전혀 거리가 먼 이야기일 뿐입니다.
국내최고 기술력 보유회사 삼호개발(삼호지질)의 "NATM"공법이야 말로 GTX, 해저터널 터널굴착의
최고 수혜주임에는 확실해 보입니다.
향후 삼호개발의 행보에 깊은 관심을 갖어야할 이유 입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첨부파일 :
NATM2.JPG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