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오늘의 매매동향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523 2024/05/17 20:51
수정 2024/05/18 00:02

게시글 내용



외국인 매수                              29,257주(제이피 모간 매수 24,562주 메릴린치 매도 6,868주 )



개인 매도                                95,158주



기관 매수                                65,806주(증권 매수 66,032주 투신 매도 38주 사모펀드 매도 179주 연기금 매도 9주 )



기타법인 매도                              105주 



프로그램 매수                             76,908주 





공매도                             3,295주 (평균단가 4,301원) 



대차체결                              304주



대차체결                            1,450주



대차잔고                       3,242,658주 







ASF 공기전파 가능성 주목

FAO, 서울서 아태지역 ASF 협의회서 제기돼
중국 연구결과 근접거리 돈사서 가능...논문도


동일개체 급성 · 만성형 동시 검출 사례 확인

회의 참가국 60% “현 시점 백신 검토 안해”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아시아태평양지역 ASF 협의회가 지난 6~8일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개최됐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의 ASF 발생 현황과 정보를 교환하고 실질적인 방역대책을 모색하기 위한 이번 회의에는 각국 정부 관계자와 전문가 50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ASF 발생시 즉각적인 살처분이 이뤄지고 있는 국내 방역체계하에서 확인이 어려운 ASF 관련 다양한 정보와 기술 등이 전해지며 관심을 모았다.

 

“10~20m 거리 가능”

우선 ASF의 공기전파 가능성이 제기돼 이목을 집중시켰다.

현지 정부 기관과 학계, 기업의 공동 연구과정에서 근접거리, 즉 농장내 10~20m 간격의 돈사간 전파 가능성이 확인됐고 지난해 6월 국제학술지에도 관련 논문이 게재됐다는 사실이 중국 참석자들로부터 전해진 것이다.

이에따라 중국에서는 일부 기업형 농장을 중심으로 에어필터 설치와 함께 정기적 청소와 먼지 제거 등 대응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만성형 피해도 급성형 수준

ASF가 확산된 나라에서는 돼지 한 마리에서 급성형과 만성형 ASF 바이러스가 동시에 검출되고 있다는 사실도 눈에 띈다.

PRRS와 마찬가지로 이미 감염된 돼지에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가 들어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만성형 ASF라도 급성형 못지 않는 피해를 양돈장에 불러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만성형 ASF 발생농장의 경우 처음에는 무시할 수준의 피해가 확인됐지만 점차 돈군의 면역력을 크게 저하시키며 호흡기 등 다른 질병 감염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급성형 수준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오염 여부 신속 검사법 개발

전파 매개체로서 물의 위험성도 다시한번 확인됐다.

베트남의 경우 대기업 운영 양돈장내 작은 개울이 바이러스에 오염되고 이로인해 농장에 ASF가 전파된 사례가 이번 회의에서 소개되기도 했다.

그 위험성을 익히 경험한 중국에서는 물에서 신속히 ASF를 검출할수 있는 기술을 개발, 이미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화 방역 시범사업도

보다 실효적인 ASF 방역을 위한 아시아태평양지역 각국 정부의 고민도 적지 않다.

중국와 필리핀의 경우 지역화 방역대책을 마련, 시범사업을 통해 이미 유의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이번 회의에서 보고됐다.

다만 지역화를 위한 범위 설정과 이동제한 기준 등 세부 대책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보완과 수정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주목할 것은 이번 회의에 참석한 나라들을 대상으로 ASF 백신 사용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0% 정도가 “현시점에서는 검토치 않고 있다”고 응답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ASF 백신의 품질 및 안전성에 대한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여서 관심을 모았다.

이번 회의에서 참석한 정현규 박사는 “ASF 방역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양돈 현장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매뉴얼 제시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아울러 양돈농가는 물론 유관산업계에 대한 방역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는 사실도 지적했다”고 밝혔다.

 

 




[한 장의 사진] 못찾겠다, 꾀꼬리!

이달 15일 누적 기준 ASF 감염멧돼지 발견건수 고작 26건, 전달 전체(135건) 대비 큰 폭 감소


지난 9일 경북 문경시 농암면 소재 야산에서 발견된 ASF 감염멧돼지 폐사체(#4045)@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 지난 9일 경북 문경시 농암면 소재 야산에서 발견된 ASF 감염멧돼지 폐사체(#4045)@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예년과 마찬가지로 5월 들어 ASF 감염멧돼지 발견건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이달 현재까지(15일 기준) 전국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감염멧돼지 숫자는 11개 시군서 모두 26건(마리)입니다. 지난달 전체 발견건수(21개 시군, 135건)와 비교하면 급감을 넘어 거의 실종 직전 단계 수준입니다. 감염멧돼지 숫자 자체가 감소한 것이 아닙니다. 5월 들어 수풀이 우거지고 비가 잦아지면서 발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농번기와 겹치면서 폐사체 일반 신고 건수가 감소한 것도 한 원인입니다. 결국 ASF 감염멧돼지 발견건수 감소는 양돈농장 입장에선 바이러스 유입 위험도가 더 커진 것입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7추천
  • 1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