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내 외신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521 2024/05/22 08:44
수정 2024/05/22 08:48

게시글 내용

철원 ASF 바이러스, 이번에도 어디서 왔는지 오리무중

철원, ASF 감염멧돼지 발견 1년여 이상 전무상태....인접 화천 감염멧돼지 발견지점과 30여 km 거리로 연관 짓기 무리


강원도 철원의 양돈장에서 또 다시 ASF가 발생했습니다. 이로써 철원에서의 사육돼지 ASF 발생건수는 모두 4건으로 늘어났습니다(동송읍/'22.11.09, 동송읍/'23.1.11, 갈말읍/'23.7.18, 갈말읍/'24.5.21). 아울러 철원은 전국 시군 가운데 유일하게 3년 연속 ASF 농장 발생의 불명예를 안게 되었습니다. 

 

역대 사육돼지 ASF 발생 사례 정리@ASF 중앙사고수습본부 자료
▲ 역대 사육돼지 ASF 발생 사례 정리@ASF 중앙사고수습본부 자료

 

그런데 이번 철원 사육돼지 발생 건은 앞서 경기(파주, 포천, 김포)·강원(양양, 철원) 등에서의 최근 발생 건과 마찬가지로 ASF 감염멧돼지와 연관성을 짓기가 어려운 또 하나의 사례로 보입니다(관련 기사). 

 

지금까지 철원서 발견된 ASF 감염멧돼지는 모두 37건입니다. 가장 최근은 지난해 3월 1건(관련 기사)이 있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의 출입이 어려운 '민통선 안'에서 나왔습니다. '민통선 밖'을 기준으로 한다면 '21년 4월이 마지막입니다. 그 사이 '22년 11월과 '23년 1월과 7월, '24년 5월 철원 사육돼지에서 ASF 감염이 확인된 것입니다. 쉽게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최근 3년간 철원서 감염멧돼지가 있지만 제대로 찾지 못했거나 북한으로부터 추가 바이러스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물론 인접한 화천으로부터 사람·차량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달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화천에서는 올해 3월(3건)과 4월(2건) 감염멧돼지가 거의 1년여 만에 연달아 발견된 바 있습니다. 다만, 이들 화천 감염멧돼지와 철원 발생농장과의 거리는 약 30여km 정도입니다. 여전히 설명이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역대 일자별 사육돼지 및 야생멧돼지 ASF 발생건수@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자료
▲ 역대 일자별 사육돼지 및 야생멧돼지 ASF 발생건수@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자료

 

당장 오늘(22일)부터 이번 철원 발생농장에 대한 역학조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바이러스 유입 경로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오염출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봅니다. 

 

한편 정부는 지난 '19-'21년(#1-#21) ASF 역학조사 결과 공개를 끝으로 이후 추가 조사 결과는 발표하지 않고 있습니다. 농장별 방역취약사항만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달 ASF 감염멧돼지 발견건수는 21일 기준 32건으로 전달(135건)에 비해 크게 감소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는 감염멧돼지 숫자 자체가 감소한 것이 아니라 계절적으로 찾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강원도 철원 비육전문농장서 4개월 만에 ASF 발생

21일 오전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소재 1200두 규모 비육전문농장서 ASF 의심 신고....같은 날 오후 최종 양성 진단



사육돼지 농장에서 4개월 만에 ASF가 발생했습니다.

 

21일 강원도 철원의 한 비육전문농장(빨간풍선)에서 ASF 발생이 확인되었습니다@구글지도
▲ 21일 강원도 철원의 한 비육전문농장(빨간풍선)에서 ASF 발생이 확인되었습니다@구글지도

 

해당 농장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에 위치한 비육전문농장(1200두 규모)입니다. 농장측은 최근 비육돈이 연달아 폐사하자 오늘(21일) 오전 철원군에 가축전염병 발생 의심신고를 접수했습니다. 지난 11일부터 신고 시점까지의 폐사두수는 40마리로 알려졌습니다(11일 1두, 16일 4두, 19일 10두, 20일 13두, 21일 4두).

 

그리고 안타깝게도 같은 날 오후 8시경 강원도 동물위생시험소의 정밀검사 결과 최종 'ASF 양성'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역대 41번째, 올해로는 지난 1월 경북 영덕과 경기 파주에 이어 3번째 사육돼지 발생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철원 ASF 발생 관련 일시이동중지명령@농식품부
▲ 철원 ASF 발생 관련 일시이동중지명령@농식품부

 

이번 철원 발생농장의 돼지는 모두 살처분될 예정입니다. 발생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10km 내 다른 양돈장(방역대 농장) 66호 14만4천여 마리의 돼지에 대해서는 30여일 간의 이동제한 조치가 실시됩니다. 긴급 정밀검사도 진행됩니다. 

 

관련해 방역당국은 21일 오후 8시부로 강원 철원·화천, 경기 김포‧파주‧연천‧고양‧양주‧동두천‧포천, 인천 강화 등 10개 시군의 양돈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관계시설 종사자 및 차량에 대해 48시간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습니다(~5.23 20:00). 

 

관련해 한덕수 국무총리는 관계 부처에 초동 대처를 촉구하는 긴급 지시를 내렸습니다. 발생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살처분, 역학 조사, 일시 이동 중지 등 긴급 행동 지침에 따른 차단 방역을 신속히 추진하라고 강조했습니다. 환경부에는 발생 농장 일대에 설치한 울타리를 긴급 점검·보완하고,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색과 포획 활동에 전력을 기울이라고 당부했습니다. 관계 부처·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는 방역 조치 이행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라고 주문했습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4추천
  • 1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