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늘어나는 돌파감염, 일상회복 변수로…추가접종 더 빨라지나

작성자 정보

세자

게시글 정보

조회 60 2021/11/03 08:04

게시글 내용

서울 신규확진 절반이 돌파감염…위중증·사망률 낮지만 절대치 늘면 부담
당국, 기본접종 6개월 후 추가접종 방침 유지, 필요시 한달 단축 가능


코로나 백신 접종후 돌파감염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백신을 맞고도 감염되는 이른바 '돌파감염자' 수도 계속해서 늘고 있다.

특히 최근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신규 확진자의 절반가량이 돌파감염자인 것으로 나타나, 일상회복 과정에서 더 적극적으로 돌파감염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최근 1주간(10.2430) 코로나19 돌파감염 추정 사례는 3천118명 늘어 누적 돌파감염자는 2만3천72명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접종완료자 3천37만6천23명 중 0.07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최근 4주 동안 주간 일평균 신규 확진자가 1천500명 안팎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신규 확진자의 30% 이상은 돌파감염으로 추정되고, 가장 최근에는 지역별로는 이 비율이 50%까지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달 31일 신규 확진자 646명 중 49.4%인 319명이 돌파감염 사례"라며 "서울 지역의 돌파감염률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높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2명 중 1명이 돌파감염일 정도로 돌파감염이 많아지는 것은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는 데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접종완료율이 100%가 되면 신규 확진자는 100% 돌파감염 사례가 되는 셈이다.

이날 0시 기준 인구 대비 접종완료율은 75.6%로, 총 3천880만4천722명이 접종을 마쳤다.

10명 중 7명 이상이 백신 접종을 마쳤지만, 코로나19 백신의 감염 예방효과가 100%가 아닌데다 항체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접종을 완료해도 감염이 되는 사례가 나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백신 접종이 지난 2월부터 시작돼 초기 접종자들의 경우 접종한 지 6개월이 지난 상태이고, 초기 접종자 대부분은 면역이 다소 떨어지는 고령자들이다.

이런 사정으로 월별 돌파감염자 수는 4월 2명, 5월 7명, 6월 116명, 7월 1천180명, 8월 2천764명, 9월 8천911명, 10월 1만92명 등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당국에 따르면 돌파감염의 경우 중증이환-사망 예방효과는 90% 이상이다. 미접종자나 미완료자에 비해 의료대응 측면에서는 훨씬 수월해진다.

다만, 돌파감염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늘어날 경우 의료체계에 부담이 된다. 따라서 중증환자가 되거나 사망할 확률이 훨씬 높아지는 미접종자에 대한 대책 못지않게 돌파감염 예방도 중요한 숙제다.

의료진 부스터샷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의료계에서는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부스터샷'(추가접종) 일정을 앞당기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전남 고흥 노인센터, 경남 창원 ·거제 요양병원, 서울 강북 요양병원과 노원구 상계백병원 등에서는 돌파감염이 잇따랐다.

정부는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 요양병원·요양시설 입소자, 50세 이상,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얀센 접종자 등에 대한 추가접종 계획을 발표하면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완료 6개월 후에 하기로 했는데 이를 앞당기자는 것이다.

정부는 고위험군에 대한 추가접종을 일괄적으로 앞당기지는 않을 방침이다.

대신 지방지차단체의 판단에 따라 요양시설 등에 대해서는 접종 시기를 4주 내에서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접종계획을 발표하면서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추가접종 시기를 4주 이내에서 단축할 수 있도록 했다.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브리핑에서 "요양병원·시설은 3월에 1차 접종, 5월 중순에 2차 접종을 해서 이달 중에 추가접종 대상이 된다"며 "하지만 집단감염이 발생하거나 우려되는 경우에는 지자체에 따라서 4주 일찍 접종할 수 있도록 지침이 내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는 자체 보유 중인 백신을 활용해 조기 추가접종을 시행하고 있으며, 당국은 백신 지원 요청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의 추가접종 실시 기준은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기준과 동일하다"며 "국내외 연구 결과와 정책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있고, 기준 변경 요인이나 근거가 발생하면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