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이회사 이거랑도 연관이 있는듯...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410 2005/12/05 17:09

게시글 내용

지난주 주말부터 이회사에 대해 열심히 공부 중 임다...

 

향후 영위 사업중에 보니깐 PVC 대체 신소재 TPO 를 이용한 여러분야로

진출한다고 되어 있는데... 호재가 되지 않을까 하네요...

 

TPO 제조에 대한 특허 취득을 했네요...

 

참고 하세요들

 

 

 세동 A053060
  코스닥  (액면가 : 500)      * 12월 05일 17시 09분 데이터   
현재가 2,400  시가 2,255  52주 최고  
전일비 ▲ 235  고가 2,460  52주 최저  
거래량 857,061  저가 2,230  총주식수 6,122,200 

 

 

 

PVC 의료용품 ‘환경호르몬’ 유해성 논란 재연

[서울신문 2005-12-05 09:12]

[서울신문]우리나라에서 내로라하는 상당수의 대형 병원들은 올 여름 큰 곤욕을 치러야 했다.

병원 환자들과 가족들의 항의가 빗발치거나 진료예약을 취소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대부분의 대형 병원들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PVC 재질의 수액백(bag)을 사용하고 있다.”는 한 환경단체의 고발성 캠페인 때문이다.

몇몇 병원들은 급기야 “PVC 수액백 사용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하거나 실제 PVC가 아닌 제품으로 수액백을 대체하는 등 시민들의 압력에 무릎을 꿇어야 했다.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대형 병원 가운데 현재 19곳(표 참조)이 사용을 중단했거나 다른 제품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병원 PVC 혈액백 사용도 문제”

그러나 의료용품의 인체 위해성을 둘러싼 논란은 ‘수액백 사태’만으로 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포도당·식염수 등이 든 수액백뿐만 아니라, 환자수혈을 위한 혈액백 등 다른 의료용품들도 PVC 재질로 만들어져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 이를 사용 중인 것으로 조사돼 논란이 재연되고 있어서다.

4일 서울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5개월 동안 서울과 경기도의 500병상 이상 시설을 갖춘 21개 병원을 상대로 각종 의료용품의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혈액백과 혈액투석 튜브의 경우 모든 병원에서 PVC 용품을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환경연합 이지현 국장은 “복막투석백과 상처배액주머니 등 다른 의료용품은 21개 병원 가운데 1∼7곳에서만 실리콘 등 다른 재질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수액백·혈액백 같은 의료용품의 인체 유해성 논란이 불거진 것은 ‘환경 호르몬’으로 알려진 프탈레이트(DEHP)라는 화학물질 때문이다. 프탈레이트는 PVC 제조과정에서 플라스틱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데,“수액백이나 혈액백에 포함된 프탈레이트가 수액이나 혈액 속으로 용출돼 환자의 몸 속으로 바로 스며들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얼마나 유해한가

프탈레이트의 인체 유해성은 이미 과학적으로 입증된 상태다. 세계야생보호기금(WWF)과 일본 노동후생성 등은 생식독성이 강한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규정하고 있고, 유럽연합은 지난 1992년부터 ‘생식 독성물질’로 분류해 생활용품 제조에 쓰지 못하도록 조치했다.2002년엔 하버드대학 연구팀이 “프탈레이트는 남성의 정자 수와 운동성을 저해하는 등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내년부터 3세 이하의 어린이용 장난감에 사용을 금지시킨 상태다.

PVC 제품은 환경적 측면에서도 문제를 일으킨다. 폐기물로 소각처리되는 과정에서 발암물질로 알려진 다이옥신, 퓨란 등 유독물질이 대기로 방출되는데, 이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PVC 제품의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한편 PVC 사용금지 정책도 갈수록 확대, 강화해 가는 추세다. 친환경상품진흥원 문승식 구매진흥국장은 “덴마크 콜딩시의 경우 2008년부터 PVC가 함유된 지우개·바인더 등 사무용품의 사용마저 전면 금지키로 조치할 정도”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 병원에서 나오는 감염성 폐기물 가운데 PVC 제품은 90%를 웃돌아 다이옥신을 배출하는 중요한 오염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검출량은 국제기준 이하


인체 유해성 논란과 관련, 병원에서 사용되는 수액백·혈액백 등 의료용품이 프탈레이트를 얼마나 용출시키느냐가 관건 가운데 하나인데, 이에 대해선 견해가 다소 엇갈린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해 초 수액백의 프탈레이트 용출량을 검사해 보니 0.012∼0.035(피피엠·100만분의 1g)으로 국제기준을 훨씬 밑돌아 “인체에 해로울 정도는 아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혈액백의 경우도 비록 수액백보다 500배 가량 많은 2.52∼2.66이 검출됐지만 역시 국제규격 상한치(100) 아래였다. 병원이나 의료용품을 생산하는 제약회사들도 “PVC 제품은 전 세계적으로 50여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돼 안정성이 입증된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단체 등의 생각은 다르다.“유해물질의 양이 아무리 적더라도 사람의 몸 속으로 바로 흘러들어간다는 사실은 심각한 문제”(서울환경연합 양장일 사무처장)라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PVC로 만든 어린이 장난감과 비닐랩 등에 대해 사용금지 조치를 한 것처럼 똑같은 ‘프탈레이트 위험’을 안고 있는 의료용품에 대해서도 법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수액백의 경우 프탈레이트가 함유되지 않은 비(非)PVC 제품이 국내에서 개발돼 생산되고 있으며, 가격도 엇비슷한 데도 불구하고 “병원들이 PVC 수액백을 교체하지 않는 것은 의료인들의 무신경 때문”(이지현 국장)이라는 비판이다.

“의료수가 인상 등 지원 필요”

수액백을 제외한 나머지 의료용품들은 사정이 다른데, 프탈레이트가 들지 않은 제품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가격도 4∼10배 정도 비싼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녹십자의 경우 기존 PVC 혈액백을 대신하는 새로운 제품을 자체 개발, 내년부터 임상평가를 거칠 예정이지만 실제로 상용화되더라도 가격 인상 및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의료수가 인상 등 정책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병원협회 정동선 사무총장은 “PVC 대체품의 사용이 세계적인 대세라면 우리 병원계도 동참하는데 이의가 없다.”면서 “그러나 갈수록 가중되는 병원경영의 어려움을 감안해 적정한 의료수가를 책정하는 등 병원과 공급자가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유인책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환경보건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환경부도 의료용품의 프탈레이트 함유 문제에 대해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마련 중이다. 김영훈 유해물질과장은 “프탈레이트의 생식독성 등 문제와 관련해 병원의 PVC 의료용품 사용실태 등에 대해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라면서 “국제적인 추세와 용역결과 등을 감안해 취급제한 및 금지물질 지정 여부 등 정책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은호기자 unopark@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