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짐펜트라: 시간의 문제 (2024 DDW_A Quick Review)

작성자 정보

사또

게시글 정보

조회 2,614 2024/05/24 11:22
수정 2024/05/24 11:23

게시글 내용

■2024 DDW_A Quick Review

□짐펜트라: 시간의 문제 ------------------------------
-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권해순

안녕하세요.
지난 5.18-21에 걸쳐 진행된 2024DDW 에 다녀왔습니다.
DDW(Digestive Disease Week)는 소화기질환과 관련된 가장 큰행사로 금번 행사에서는 염증성 장질환(IBD) 치료제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위한 빅파마들의 치열한 마케팅 현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셀트리온은 짐펜트라의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상당히 활발하게 밀착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짐펜트라는 제형의 편의성은 기본이고 높은 유효성과 안전성을 보인 임상데이타도 발표하였습니다.
당사는 짐펜트라의 미국 시장 침투는 시간의 문제이지, IBD시장에서 핵심 제품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합니다.오늘 발간된 자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금번 행사기간에는 여러 임상데이타들도 발표되었습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분석 후 빠른 시일 내여 추가 자료를 통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리포트 요약 정리--------------------------------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25만원 유지, 적극적으로 매수해야 할 때라고 판단함

◼️밸류체인 일원화와 미국 시장에서 유통 채널망을 구축하며 비즈니스모델 혁신(Business model Innovation) 진행 중
◼️5월 18~21일 개최된 2024 DDW(Digestive Disease Week)를 참관하여 IBD(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들의 글로벌 개발 동향 및 마케팅 현황을 파악함

■ IBD 치료제 시장 동향
① 염증성 장질환 유병률이 상승하면서 신제품 출시, 제형 변화, 바이오시밀러 출시로 IBD 치료제 시장 격변 중
② 다케다, J&J, 애브비, 그리고 국내 제약사 셀트리온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마케팅 진행

◼️셀트리온: 짐펜트라로 외형 성장과 이익 성장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
① 제형 변화로 편의성은 기본, 치료 효과와 안전성까지 모두 확보: 2년 연장 임상에서 우수한 약효 유지 효과 확인
② 2024 DDW에서 짐펜트라에 대한 의료진들의 높은 관심과 우호적인 반응을 확인함, 밀착 마케팅 진행 중
③ TNF-α 치료제 시장에서 점유율 상승에 따른 매출 증가는 시간의 문제

■ 제 3 성장기: Business Model Innovation 진행 중
당사는 2024 년 3 월 4 일 발간한 셀트리온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2024 년 상반기에는 공격적인 매수 전략보다 보수적 접근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는 2023 년 12 월 합병 이후 신제품 출시와 합병 이후 원가율 정상화에 따른실적 고성장 추이가 하반기
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판단하여 매출 성장을 확인하 고 접근하는 보수적인 접근을 권유한 것이었다. 그러나 지난 5 월 18~21 일 개최된 2024 DDW 참관을 통해 짐펜트라의 상업화 성공을 확신하게 되었다. 따라서 2 분기부터 셀트리온을 적극적으로 매수할 것을권유한다.
당사는 셀트리온이 제 3 성장기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트리온은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을 통해 밸류체인을 일원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회계 투명성, 자산 효율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 시장에서 직접 판매를 위한 유통 채널을 구축하면서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진행 중이다.

둘째, 2024 DDW 참관을 통해 당사는 2024 년 하반기 짐펜트라의 미국 상업화에 성공하면서 실적 개선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는 것은 물론, 기업가치가 재평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짐펜트라의 미국 매출 증가는 시간의 문제이며 IBD 시장에서 핵심 치료제로 확고한 위상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 짐펜트라: 시간의 문제
당사는 2024 DDW 참관 후 짐펜트라가 미국 IBD 치료제 시장에서 핵심 제품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번 DDW 에서 발표된 여러 임상 데이터들을 통해 TNF- α 저헤제인 인플릭시맙이 여전히 1 차 치료제로서 핵심 치료제가 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짐펜트라가 제형의 편의성은 기본이고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까지 모두 확보한 임상데이터들을 발표하면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미국 시장에서의 유통 채널 구축은 제품 연구개발과는 차원이 다른 경영전략이 필요한 영역이다. 셀트리온은 짐펜트라의차별성을 극대화시켜 전문진들에게 적극적인 밀착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어 매우 높은 호응도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확대되는 IBD 치료제 시장에서 셀트리온은 인플렉시맙 성분뿐만 아니라아달리무맙(휴미라 성분) 바이오시밀러, 우스테키누맙(스텔라라 성분)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시켜 고객들에게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즉, 짐펜트라의 미국 매출 증가는 시간의 문제라고 보며 유럽 시장에서 성공한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 시장에서 침투율을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https://band.us/band/88457085/post/40161









게시글 찬성/반대

  • 35추천
  • 5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