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석유고갈위기의 서막과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등장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435 2008/11/10 13:22

게시글 내용

석유고갈

 

 석유 가격이 급등하고, 마침내 석유 위기가 닥친다.현재 세계에서 소비되는 1차 에너지의 약 40%가 석유로 충당되고 있다.석유는 1950년대에 중동지역에서 대규모 유전이 개발되고 나서 염가로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석유는 마침내 석탄을 대신하여, 에너지 자원의 주역이 되어, 인류 사회의 기반을 유지해 왔다. 그래서 석유의 가격이 세계 경제와 우리들의 생활을 좌우하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 현재의 생산량으로 계산하면, 석유는 앞으로 약 40년 이면 고갈될 것이라 한다. 1999년 연간 생산량은 약 253억 배럴이었다. 1배럴은 약 159L이다.

 

 일본쓰쿠바 대학 기능공학계의 우치야마 교수는 "석유는 지금부터 약 40년 후 갑자기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보통 유전은 매장량이 채굴 개시 전의 약 40%가 될 무렵부터 생산량은 차츰 감소된다."고 말하고 있다. 우치야마 교수는 세계의 주요 유전 모두에 대하여 석유의 감산이 시작되는 시기를 계산하여, 그들을 합산했다. 그 결과, 저가인 석유는 2015년경부터 감산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저가 석유란 생산 비용이 1배럴당 20달러 이하인 것을 가리키는데, 이것을 1L당으로 환산하면 약 130원이다.

 

 현재 여러 나라의 경제는 저가격의 석유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에 세계는 두 번의 큰 석유 위기를 맞아, 에너지의 대부분을 석유에 의존하고 있던 나라들의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다. 그것이 1973년의 제1차 석유 위기와 1979년의 제2차 석유 위기인데, 전쟁이나 정변을 계기로 원유 가격이 상승했던 결과로 발생하였다. 2015년부터 저가 석유가 감소한다는 것은 이대로 아무 대책을 강구하지 않는다면, 석유의 대량 소비 위에 성립하는 현재 사회의 존속이 어렵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 석유 위기는 석유의 고갈이라는 근본적인 원인에 유래한다는 점이 과거와는 다른 양상이다.

 


가스하이드레이트란 무엇인가?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천연가스가 깊은 바닷속에서 물과 함께 얼어붙은 덩어리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드라이아이스와 비슷한 모양으로 상온에서 불이 붙는다. 태울 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석유의 24%에 불과해 청정 에너지로 꼽힌다. 세계적으로 확인된 메탄수화물의 매장량은 기존 천연가스 매장량의 약 100배인 10조t이 넘는 데다 러시아 캐나다 일본의 공동 연구팀은 메탄수화물이 베링해, 오호츠크해, 울릉도ㆍ독도 부근 해저, 남극 세종기지 주변 해역에 매장돼 있다는 사실을 이미 밝혀냈다.

 


동해 독도부근에서 "불타는 얼음" 발견

 

작년 가스하이드레이트 사업단이 포항에서 동북쪽으로 135㎞ 떨어진 울릉분지 해역 수심 1800m 이상 3개 지점에서 시추작업을 벌인 결과, 해저층에서 구간이 최대 130m인 가스하이드레이트 구조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단일구조로는 세계최대규모.김정관 산자부 에너지자원개발본부장은 "이번 시추 결과만으로 울릉분지 전체 가스하이드레이트 매장량이나 경제성을 평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면서도 "주변 여러 지점에서도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발견된 점을 볼 때 당초 예상했던 6억t보다 더 많은 양이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개발, 상용화 초석이 될 내년 미국 가스하이드레이트 시험생산.

 

1980년대부터 기술개발에 나서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은 7년간의 준비를 거쳐 2009년부터 알래스카 지역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시험생산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ANS(Alaska North Slope) Project
- 가스하이드레이트 육상시험생산 프로젝트
- 미 에너지부 지원으로 '01∼'07년간 준비프로젝트 추진
- 시험생산계획 수립('08) 및 시험생산 프로젝트 착수('09)

 


08년, 4월 한미 에너지장관 가스하이드레이트 공동개발 위한 의향서 서명

 

한미 공조는 따라서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으로 생산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탐사를 비롯해 생산 방법, 필드테스트, 인력·정보 교류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특히 미국이 내년부터 가스하이드레이트 시험생산(ANS) 프로젝트에 한국기업(GH개발사업단, 가스공사 등)의 참여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