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종목현미경]미디어플렉스_주요 매물구간인 4,865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284 2013/07/22 12:35

게시글 내용

- 관련종목들 가운데 위험도는 높지만 성과는 나빠
- 관련종목들 혼조세, 오락,문화업종 -1.53%
- 증권사 목표주가 6,500원, 현재주가 대비 49% 추가 상승여력
-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은 순매도(한달누적)
- 주가등락폭 크고, 주주들의 손바뀜도 잦아
- 주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
- 주가와 거래량은 보통, 투자심리는 강세
- 주요 매물구간인 4,865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관련종목들 가운데 위험도는 높지만 성과는 나빠

22일 오후 12시20분 현재 전일대비 9.49% 내린 4,340원을 기록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는 미디어플렉스는 지난 1개월간 8.25%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6.2%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닥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미디어플렉스의 월간 변동성이 상당히 커지면서 주가흐름도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나쁜 모습을 보였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미디어플렉스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1.3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이 커지면서 위험요인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이 가장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코스닥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2.2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좋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미디어플렉스가 속해 있는 코스닥업종은 오락,문화지수보다 변동성은 낮고, 수익률은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코스닥업종에 투자하고 있다면 지수대비 안전하면서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위험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순위 % 순위 % 순위
미디어플렉스 1위 6.2% 5위 -8.3% 5위 -1.3
와이지엔터테인먼트 2위 3.4% 4위 -0.8% 4위 -0.2
에스엠 3위 3.3% 2위 10.1% 3위 3.0
레드로버 4위 2.9% 1위 17.3% 1위 5.9
SBS콘텐츠허브 5위 2.3% 3위 9.1% 2위 3.9
오락,문화 - 2.5% - 1.4% - 0.5
코스닥 - 1.8% - 4.1% - 2.2

관련종목들 혼조세, 오락,문화업종 -1.53%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고 오락,문화업종은 1.53% 하락하고 있다.
에스엠
36,500원 ▲250(+0.69%) 레드로버
6,770원 ▼60(-0.88%)
와이지엔터테인먼트
52,900원 ▲200(+0.38%) SBS콘텐츠허브
13,800원 ▼150(-1.08%)

증권사 목표주가 6,500원, 현재주가 대비 49%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미디어플렉스의 평균 목표주가는 6,500원이다. 현재 주가는 4,340원으로 2,160원(49%)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신영증권의 한승호, 이재일 에널리스트가 " 상해는 전관 매진, 현재 동사는 중국에서 ‘미스터 고(중국명: 大明猩)’ 관련 프로모션을 진행 중. 상해(上海)에서 있었던 유료 시사회의 경우 4개 상영관이 모두 매진되는 등 뜨거운 관심. 아직은 초기인데다 일부 도시에서의 반응이지만 중국흥행에 청신호가 켜진 점은 사실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B(유지)에 목표주가: 6,500원을 제시했고, 신영증권의 한승호, 이재일 에널리스트가 " 당분간 상승랠리 가능성 높다, ‘미스터 고’를 관람한 결과, 재미와 감동을 모두 잡은 무난한 오락물로 판단된다. 더욱이 12세 관람가여서 온 가족이 부담 없이 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2012년의 ‘도둑들’처럼 방학 시즌에 개봉, 타이밍도 매우 좋아 보인다. 특히 3D효과가 대단히 탁월하다는 점에서 2010년 ‘아바타(Avatar)’ 이후 모처럼 ‘3D 관람 열풍’도 재현될 조짐..."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B(유지)에 목표주가: 6,500원을 제시했다.

5월31일에 미디어플렉스 1/4분기(2013년1월~3월)실적 발표됨
<발표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1/4분기 157.1억 35.5억 37.7억
직전분기 대비 8.6% 감소 179.4% 증가 흑자전환
전년동기 대비 25.2% 감소 72.3% 증가 61.8% 증가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11%로 업종평균 상회. PBR은 2.99임.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미디어플렉스가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은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미디어플렉스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레드로버 SBS콘텐츠허브 에스엠
ROE -5.0 17.6 -21.6 16.8 15.6
PER - 31.8 - 13.7 20.3
PBR 3.0 5.6 3.3 2.3 3.2
기준년월 2012년12월 2012년12월 2012년12월 2012년12월 2012년12월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은 순매도(한달누적)
기관이 2일연속 주식을 팔고 있는 반면 외국인은 3일연속 주식을 사고 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초반에 동종목을 순매수한 이후에 기세를 이어가며 783,465주를 순매수했고, 기관도 순매도를 기록하다가 다시 순매수로 돌아서면서 69,886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들은 매도쪽으로 방향을 잡으면서 853,351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등락폭 크고, 주주들의 손바뀜도 잦아
최근 한달간 미디어플렉스의 매매회전율을 분석한 결과 15일에 1번 꼴로 주식의 주인이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회전율이 높은 경우 유동성이 좋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런경우 주가변동이 심한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동종목의 경우도 일평균 주가변동률이 8.44%에 달해 장중 주가변동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93.23%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3.47%를 보였으며 기관은 3.29%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93.67%로 가장 높았고, 외국인이 3.22%로 그 뒤를 이었다. 기관은 3.1%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와 거래량은 보통, 투자심리는 강세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주가흐름처럼 투자심리도 개선되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으로는 상승패턴, 단기적으로는 하락패턴이다.
    침체 약세 보통 강세 과열 
   주가
   거래량
   투자심리

주요 매물구간인 4,865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4,865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4,865원대는 전체 거래의 23.9%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4,7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2매물대인 4,70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2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4,700원대의 저항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