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종목현미경]나노캠텍_기관과 개인은 순매도, 외국인은 순매수게시글 내용
![]() |
- 위험대비 수익율 4로 상위권 [변동성↔,수익률↑] 업종지수보다 높아 - 관련종목들 혼조세, 화학업종 +0.1% - 증권사 목표주가 13,500원, 현재주가는 목표주가에 근접 - 기관과 개인은 순매도, 외국인은 순매수 - 회전율과 주가등락폭에 특이사항 없어 |
위험대비 수익율 4로 상위권 [변동성↔,수익률↑] 업종지수보다 높아 12일 오전 11시20분 현재 전일대비 99% 오른 13,500원으로 상한가를 기록중인 나노캠텍은 지난 1개월간 21% 상승했다. 같은 기간동안 위험를 나타내는 지표인 표준편차는 5.2%를 기록했다. 이는 화학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나노캠텍의 월간 주가수익률은 가장 높았지만 변동성은 적정한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나노캠텍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4.0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중간 수준이었으나 주가흐름이 양호했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화학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3.0보다도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나노캠텍이 속해 있는 화학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수익률은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은 지수보다 크게 오르락 내리락 했지만, 상승률은 오히려 지수보다 못하다는 의미이다. |
![]() |
위험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
순위 | % | 순위 | % | 순위 | ||
바이오랜드 | 5위 | 1.4% | 2위 | 14.8% | 1위 | 10.5 |
나노캠텍 | 3위 | 5.2% | 1위 | 21.0% | 2위 | 4.0 |
코리아나 | 4위 | 2.1% | 3위 | -1.9% | 3위 | -0.9 |
더히트 | 2위 | 5.6% | 4위 | -19.2% | 4위 | -3.4 |
굿센 | 1위 | 5.7% | 5위 | -36.1% | 5위 | -6.3 |
코스닥 | - | 1.4% | - | 8.1% | - | 5.7 |
화학 | - | 1.5% | - | 4.3% | - | 3.0 |
관련종목들 혼조세, 화학업종 +0.1% |
코리아나 | 1,505원 ▼5(-0.33%) | 더히트 | 1,655원 ▲20(+1.22%) |
굿센 | 3,540원 ▼60(-1.67%) | 바이오랜드 | 8,750원 ▲310(+3.67%) |
증권사 목표주가 13,500원, 현재주가는 목표주가에 근접 |
기관과 개인은 순매도, 외국인은 순매수 7월9일부터 전일까지 외국인이 3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보였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수 우위를 보이면서 6,782주를 순매수한 반면, 기관은 매도 이후에 다시 순매수로 돌아서지 않으면서 25주를 순매도했고, 개인들도 매도 우위로 반전되면서 6,757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회전율과 주가등락폭에 특이사항 없어 최근 한달간 나노캠텍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1.41%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5.61%를 나타내고 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기술적 접근] |
침체 | 약세 | 보통 | 강세 | 과열 | |
![]() |
주가 | ![]() |
거래량 | ![]() |
투자심리 | ![]() |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아래로 11,95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또한 11,700원대에서 지지매물대가 비교적 큰 규모로 형성되어있습니다. 이중에서 11,950원대는 전체 거래의 25.3%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향후 주가가 조정받을때 수급적인 강력한 지지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11,7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크기때문에 향후 주가조정시에 지지매물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11,950원대의 지지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1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11,950원대의 지지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
[포인트검색] |
나노캠텍(주) 신규시설투자등
나노캠텍(주) 특허취득
나노캠텍(주) 특허취득
ⓒ 한경닷컴 & 씽크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