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저점에선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작성자 정보

대감

게시글 정보

조회 118 2025/02/25 05:50

게시글 내용



정부가 34조 원 규모의 첨단 전략산업 육성 기금을 조성하며 반도체·AI 산업 지원을 본격화한다. 반도체 지원법도 3월 국회 통과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며, 와이씨켐·램테크놀로지가 상한가를 기록했고, 어보브반도체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어보브반도체는 AI 음성인식 반도체 ‘아담백’ 개발로 주목받으며 정부 지원 정책의 수혜가 기대된다.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이을 차세대 먹거리로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를 점찍고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소식에 어보브반도체가 상승세다.

어보브반도체는 삼성전자와 SK실트론과 국책사업으로 ‘SiC·GaN 전력반도체’ 공동개발에 참여 중이다.

2월7일 오전 10시 21분 현재 어보브반도체는 전일대비 890원(8.94%) 상승한 1만84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한 언론매체에 따르면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HBM을 이을 차세대 먹거리로 전기자동차 등에 탑재될 전력 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실리콘 SiC 웨이퍼에 주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K그룹은 반도체 웨이퍼 생산회사인 SK실트론을 통해 2020년 3월 미국 듀폰사로부터 SiC 웨이퍼 기업인 SK실트론CSS를 인수했다. 최 회장의 대규모 투자로 미국 베이시티 신공장도 완공한 SK실트론CSS은 최근 7600억 원 규모로 미국 정부의 대출 지원도 받았다.

이어 한미 듀얼 생산 체계를 구축해 차세대 제품인 200㎜ SiC 웨이퍼를 올해 본격 양산하며 시장 추격에 나선다는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소식에 주식시장에서는 어보브반도체에 매수세가 몰리며 상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어보브반도체는 지난해 국책과제를 통해 삼성전자와 SK실트론등과 함께 미래 먹거리라 불리는 'SiC·GaN 전력반도체' 공동참여 MOU를 체결했다.

화합물 전력반도체는 전원·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자기기에 맞는 전압·전류 수준으로 변환·변압하는 반도체로 시스템반도체의 하나다.

기존 실리콘 대신 SiC(탄화규소), GaN(질화갈륨)을 활용하며 실리콘 전력반도체 대비 전력 효율과 내구성이 높아 전기차·그린에너지·산업용 등 미래 첨단산업 핵심 부품으로 활용될 것으로 업계와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어보브반도체가 상승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전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3자 회동했으며 인공지능(AI)칩과 AI TV, AI 반도체에 대한 협업이 논의됐을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어보브반도체는 온디바이스 AI MCU칩을 삼성전자의 가전제품에 납품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으며, 시장에선 삼성전자 AI 가전 관련주로 거론하고 있다. 

2월5일 오전 9시 22분 현재 어보브반도체는 전일 대비 3.48% 오른 8920원에 거래 중이다.  

전일 한 경제매체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자 회동에서 인공지능(AI)칩과 AI TV, AI 반도체에 대한 협업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특히 오픈AI와 ‘오픈 파트너십’을 맺는 방안을 양사 간 조율하고 있는 중이다. 오픈 파트너십은 글로벌 AI 기업과 손잡고 첨단 기술을 삼성전자 제품과 서비스에 통합하는 개방적인 협력 프로그램이다. 삼성전자는 오픈AI 서비스를 삼성전자 TV 등에 접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국내 1위 MCU(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Micro Controller Unit) 기업 어보브반도체가 올해 상반기 내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한 MCU를 양산할 계획이라고 1월9일 밝혔다.  

MCU는 단순 제어를 넘어 엣지 컴퓨팅의 핵심 부품으로 자리 잡으며, AI와 IoT(사물인터넷)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어보브반도체는 지난해 7월 온디바이스 AI MCU ‘아담(ADAM)-100’의 엔지니어링 샘플을 공개하며 관련 기술 개발을 선도해 왔다. 

아담-100은 초저전력을 구현한 제품으로 음성 기반 가전제품과 다양한 전자기기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제품은 신경망처리장치(NPU) 블록인 ‘SPU(Sparse Processing Unit)’와 MCU 블록으로 구성돼 AI 모델의 추론 기능을 지원한다. 

이날 어보브반도체 관계자는 파이낸스스코프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온디바이스 AI MCU 양산은 계획대로 진행 중”이라며 “올해 상반기 내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삼성전자, LG전자 등 고객사로 납품을 전망하고 있다.  

어보브반도체는 가온칩스와 협력해 고성능 가전용 MCU도 개발 중이다. 해당 제품은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28나노미터(nm) 공정을 사용해 생산될 예정으로, 가전용 MCU에 28나노 공정을 도입하는 것은 업계 최초다. 

이 차세대 MCU는 삼성전자의 AI 기반 가전제품에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는 올해 CES 2025에서 ‘모두를 위한 AI: 경험과 혁신의 확장(AI for All: Everyday, Everywhere)’을 주제로 프레스 콘퍼런스를 열고 스마트홈 기술 ‘스마트싱스 앰비언트 센싱’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사용자의 움직임과 소리를 분석해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며,업그레이드된 AI 음성 비서 ‘빅스비’를 적용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TV 신제품에 AI 기반 기능인 ‘삼성 비전 AI’를 도입해 개인화된 콘텐츠 경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은 콘텐츠 검색, 실시간 번역 등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를 최대 고객사로 두고 있는 어보브반도체는 온디바이스 AI MCU를 통해 AI 가전의 확산에서 큰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온디바이스 AI MCU는 동사의 실적 성장을 이끄는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MCU 시장은 2023년 약 263억달러(약 38조원) 규모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8.9%로 성장해 475억달러(약 69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21.16억으로 전년대비 0.13% 감소. 영업이익은 55.03억 적자로 146.43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195.04억 적자로 334.43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어보브반도체와 가온칩스가 고성능 가전용 마이크로컨트롤러(MCU)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작년 7월18일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28나노 공정 기술을 활용해 하이엔드 가전 MCU를 개발하기로 했다. 

어보브반도체는 가전용 MCU 전문 기업으로, 지금까지 주로 65나노에서 130나노 공정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 왔다. 회사는 최근 AI기능이 추가되고 보다 저전력이 요구되는 등 고성능화 되고 있는 가전시장에 업계 최초로 28나노 미세 공정을 적용한 MCU를 개발해 고성능 MCU 제품 라인업을 본격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어보브반도체와 가온칩스는 전통적으로 삼성파운드리에 대한 개발 경험을 쌓아왔다. 삼성파운드리의 디자인솔루션파트너(DSP)인 가온칩스와 협력을 통해 양사는 AI 가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예정이다.

어보브반도체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우리는 가전 시장에서 새로운 기술적 경쟁력을 구축하고, 고객들에게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가온칩스와의 협력을 통해 MCU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하이엔드 가전 MCU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제품을 계속해서 선보일 계획이다.



어보브반도체는 온디바이스용 인공지능(AI)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아담(ADAM)-100'의 엔지니어링 샘플을 출시했다고 작년7월4일 밝혔다. 아담-100은 어보브반도체와 전략적 파트너사인 펨토센스가 공동 개발 중인 제품이다. 어보브반도체의 AI MCU 시리즈 첫 번째 제품으로 연내 양산이 목표다 .초저전력을 구현한 제품으로 가전 제품을 비롯한 음성 기반의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아담-100은 신경망처리장치(NPU) 블록 'SPU(Sparse Processing Unit)'와 MCU 블록으로 구성돼 있다. SPU는 음성·오디오 기반의 데이터로 학습한 딥 러닝 기반의 AI 모델의 추론 기능을 지원한다.

어보브반도체는 TV 소음이 있는 환경과 원거리에서 음성인식 기반 AI 모델 성능 검증을 진행했고 근거리(Near Field: 1 미터 내 거리)와 원거리 (Far Field: 8미터 내 거리)에서 98% 이상의 음성 명령 인식률을 기록했다고 소개했다.

어보브반도체는 고객사가 자사 제품에 아담-100 적용 가능성을 쉽게 검증할 수 있도록 테스트보드와 데모용 AI 모델 3종을 제공한다. 고객사가 필요 시 최종 제품 개발에 필요한 AI 모델 개발도 지원할 예정이다.

어보브반도체 관계자는 "온디바이스AI는 저지연, 저전력, 보안성, 안전성, 비용 효율성 등이 중요하다"며 "아담-100은 이같은 시장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AI MCU로 계속해서 성능이 향상된 라인업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24.36억으로 전년대비 4.18% 감소. 영업이익은 146.43억 적자로 258.25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34.44억 적자로 126.55억에서 적자전환.


비메모리 반도체 중 두뇌역할을 하는 반도체 칩인 Micro Controller Unit(MCU)를 설계/생산하는 팹리스 업체. 핵심 설계 및 외주관리를 통해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매출비중이 높은 기능별 제품은 Home Appliance임. 삼성전자, LG전자, 위니아, 위닉스 등 국내 가전사들을 비롯하여 중국의 Midea, XIAOMI, Lenovo 및 일본, 유럽, 미국의 유수한 업체에 제품을 공급중. 주력제품인 MCU는 백색가전, TV, 모바일 및 소형 가전 등 400여 가지의 전기/전자제품에 적용중이며, Touch Sensor, Ambient Light Sensor 등의 Sensor 사업 및 각종 Driver IC를 개발 공급.
신성장 동력으로 Motor, Power 제어 및 BLE SoC 제품까지 MCU 기술을 활용한 사업 영역을 확대중. 최대주주는 최원 외(21.21%).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25.76억으로 전년대비 44.82% 증가. 영업이익은 258.25억으로 46.54% 증가. 당기순이익은 126.54억으로 7.68% 감소. 


2011년 12월19일 250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작년 1월25일 25750원에서 최고가를 갱신 후 밀렸으나 12월9일 650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14일 160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24일 1242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22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27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4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54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

하단영역

씽크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본 정보를 무단 복사, 전재 할 수 없습니다.

씽크풀은 정식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로 개별적인 투자상담과 자금운용이 불가합니다.
본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씽크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15층 (여의도동, 미원빌딩)

고객센터 1666-6300 사업자 등록번호 116-81-54775 대표 : 김동진

Copyright since 1999 © ThinkPool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