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종목토론카테고리

게시판버튼

게시글 제목

엠젠바이오-황우석팀 개발 경쟁

작성자 정보

평민

게시글 정보

조회 145 2005/05/18 23:44

게시글 내용

엠젠바이오-황우석팀 개발경쟁
9억 계약수주설에 마크가 주주로 있는 엠젠바이오
복제돼지 탄생까지 그야말로 달리는 말에 날개를 다는 격이네요
엠젠바이오-황우석팀 개발경쟁

[한국경제 2005-05-18 16:45]  
  
바이오 장기 연구의 최대 걸림돌인 면역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면역 돼지 ' 개발을 놓고 바이오 벤처기업인 엠젠바이오와 서울대 황우석 교수 연구팀이 최초 경쟁을 벌이고 있다.
면역 돼지는 탄생할 경우 면역 문제 없이 장기나 세포를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 는 게 특징. 산업적으로도 무궁무진한 가치를 지녀 BT(바이오테크놀로지)의 '화 수분'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종장기 개발 업체인 엠젠바이오(대표 박광욱)는 급성.만성.세포성 면역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돼지 유전자들을 없애 복제 돼지를 생산하는 형질전환 복 제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를 활용해 올 하반기에 췌도 세포(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 이식용 면역 돼지를 탄생시킨다고 18일 밝혔다.

엠젠바이오는 국내 최초,세계 두번째로 형질전환 돼지 '형광이'를 내놓은 이 분 야 선도 업체. 박광욱 대표는 2001년 미국 미주리대학에서 사람에게 치명적 면 역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돼지 유전자(GGAT1)를 제거,초급성 면역 반응을 없앤 돼지를 처음 생산했었다. 엠젠바이오는 하반기 생산할 면역 돼지에서 사람에게 이식할 췌도 세포를 개발,내년 초부터 삼성의료원과 공동으로 전임상 시험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에 맞서 서울대 황우석 교수와 안규리 교수가 이끄는 이종장기 연구팀도 면역 돼지 연구에 상당한 성과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황 교수와 면역 전문가 안 교 수팀은 이미 사람의 면역 유전자(hDEF)를 가진 무균 미니 돼지를 개발,연구에 이용하고 있으나 면역 거부반응을 완벽하게 해결하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돼지에서 면역과 관련된 각종 유전자를 조절해 거부 반응을 없애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황 교수팀은 하반기 중 면역 미니돼지의 장기를 영장류 인 원숭이에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장기 이식 연구는 최근 하버드대 연구팀이 돼지의 심장을 원숭이에 이식,6 개월간 생존시켜 화제를 모았을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박 대표는 "지난해 줄기세포가 큰 주목을 받았다면 올해는 이종장기 분야의 성 과가 속속 나올 것"이라며 "누가 먼저 하든 면역돼지 개발이 첫 신호탄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

게시글 찬성/반대

  • 0추천
  • 0반대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되었다? 자세히보기 →

운영배심원의견

운영배심원 의견?
운영배심원의견이란
운영배심원 의견이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댓글목록

댓글 작성하기

댓글쓰기 0 / 1000

게시판버튼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