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본문내용

종목정보

뉴스·공시

대한항공·제주항공은 미루는데…티웨이항공 여객기 도입 속도내는 이유는?
2022/01/21 07:01 뉴스핌

[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티웨이항공(091810)이 항공기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항공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뒤 항공기 기단 규모를 줄이며 긴축경영을 이어온 반면 티웨이항공은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회복될 국제선 운항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코로나19 유행 직전까지 경쟁이 치열했던 단거리 시장에서 벗어나 중장거리 노선까지 영역을 넓혀 시장 재편을 주도한다는 목표다.

◆ 대한항공(003490)·아시아나·제주항공(089590) 2년 간 항공기 15·11·6대 반납…티웨이항공은 올해 5대 도입

21일 업계 등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은 올해 에어버스 A330-300, 보잉 B737맥스를 각각 3대, 2대씩 들여올 예정이다. 현재 단일기종으로 운영 중인 B737-800 계열의 B737맥스 외에 중대형기를 추가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티웨이항공의 기재 도입은 현재 업계 상황에서 예외적인 케이스다.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부터 항공사들은 앞다퉈 기재를 반납하고 있어서다. 작년까지 2년 간 대한항공 15대, 아시아나항공 11대, 제주항공 6대, 진에어 7대, 에어부산 4대를 말소처리했다.

반면 새로 도입한 항공기는 아시아나항공 7대, 에어부산 4대, 플라이강원 2대, 대한항공,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 각각 1대씩이다.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은 코로나 유행 전에 노후 항공기 교체를 결정한 것이 적용됐다. 비교적 최근 항공면허를 받은 신생 저비용항공사(LCC)를 제외하면 2020년부터 항공기 신규 도입은 거의 없었다. 여기에 대한항공은 중대형기와 소형기 각각 20대, 62대 도입계약을 최근 연기했고 제주항공 역시 올해부터 들여올 예정이었던 B737-맥스 도입을 미루기로 했다.

이런 상황에서 티웨이항공이 공격적으로 항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운영비 부담이 적어서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기단 규모가 큰 항공사들은 국제선 운항 중단 후 멈춰선 항공기 수가 그만큼 많다. 항공기는 세워두면 관리비용이 오히려 늘어나기 때문에 기단이 많을수록 타격이 컸다.

특히 여객 외에 별다른 대안이 없는 LCC는 규모가 적을수록 코로나19를 버티기에 유리한 환경이었다. 반면 대형항공사(FSC)들은 운임이 급격하게 오른 항공화물 영업을 통해 오히려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 이스타항공 영업재개시 제주노선 축소 불가피…신생LCC 등 단거리 포화, 장거리는 '잠재수요'

여기에 이스타항공의 영업 재개가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다. 국내선은 국적항공사들이 공급과잉으로 제대로 된 수익을 못내고 있는데다 국제선 역시 재개가 본격화하더라도 LCC들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플라이강원, 에어로케이 등 신생 LCC까지 가세하면서 단거리 노선은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티웨이항공은 단거리 노선의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FSC 위주의 중장거리 시장에서 규모 확대를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국내선은 당장 제주공항 슬롯(특정 시간대에 공항을 이용할 권리)이 고민거리다. 최근 국토교통부로부터 국제항공운송사업 운항증명(AOC) 가인가를 받은 이스타항공은 김포~제주 노선부터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어서다. 이스타항공이 2020년 초부터 운항을 중단한 뒤 제주항공의 부족한 슬롯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스타항공과 외항사들이 갖고 있던 슬롯을 국적사들에게 임시로 배분한 상태다.

이스타항공이 운항을 재개하면 해당 슬롯은 다시 이스타항공이 가져가게 된다. 그나마 제주 노선으로 현금흐름을 확보했던 다른 항공사들의 유동성은 더욱 악화할 우려가 있다. 국제선 재개가 본격화하면 이스타항공이 주로 운항했던 동남아, 중국, 일본 노선 역시 다른 항공사가 가져갈 수 있는 기회는 제한된다.

반면 티웨이항공은 장거리 노선은 잠재수요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이미 크로아티아, 호주 시드니 등의 운수권을 확보한 상태다. 우선 오는 3월부터 들어오는 A330-300을 김포~제주 등 국내선에 우선 띄운 뒤 국제선 재개 분위기를 보고 싱가포르, 시드니 등 중장거리 노선을 운항한다는 계획이다. 추가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에 따른 슬롯, 운수권 배분에 대비해 북미와 영국 런던 등 서유럽까지 운항 가능한 기종 도입도 추가로 검토 중이다. 과거 동남아 노선에서처럼 대형사 위주 시장에 LCC가 본격적으로 진출해 신규수요를 창출할 수 있지 않겠냐는 전략이다. 에어프레미아 역시 장거리 LCC를 표방하며 올해 B787-9 3대를 운영할 계획이다.

다만 작년 하반기에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국제선이 재개할 수 있을거라는 기대감이 컸지만 오미크론 변이 등 코로나19 확산세를 예측하기 어려워진 만큼 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상황이 계속 급변하면서 한 달 뒤를 예상하기도 어려워진 게 현실인 데다 대형사발 산업구조 개편 등 변수가 많아 업계의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

[종합] 아시아나항공기, 카자흐 알마티공항 이륙…오늘 저녁 도착
中 미국발 항공편 70편 운항 취소...美 보복 예고
최고치 경신한 항공화물운임 하락 반전…대한항공·아시아나 올해 실적은?
티웨이항공 "대형기 추가도입"…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청신호?
저비용항공사, 수익성 회복 노린다..."장거리 노선·비즈니스석 확대"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광고영역